2024년 노벨 문학상 수상소감/한강
폐하, 왕실 전하, 신사 숙녀 여러분.
제가 여덟 살이던 날을 기억합니다.
오후 주산 수업을 마치고 나오는데 갑자기 하늘이 열리더니 폭우가 쏟아졌습니다. 비가 너무 세차게 내리자 20여 명의 아이들이 건물 처마 밑에 웅크리고 있었습니다. 길 건너편에도 비슷한 건물이 있었는데, 마치 거울을 들여다보는 것처럼 처마 밑에 또 다른 작은 군중이 보였습니다. 쏟아지는 빗줄기, 제 팔과 종아리를 적시는 습기를 보면서 문득 깨달았습니다. 저와 어깨를 맞대고 서 있는 이 모든 사람들, 그리고 건너편에 있는 모든 사람들이 저마다의 ‘나’로 살아가고 있었다는 것을요. 저와 마찬가지로 그들 모두 이 비를 보고 있었습니다. 제 얼굴에 촉촉이 젖은 비를 그들도 느끼고 있었습니다. 수많은 1인칭 시점을 경험하는 경이로운 순간이었습니다.
글을 읽고 쓰면서 보낸 시간을 되돌아보니 이 경이로운 순간이 몇 번이고 되살아났습니다. 언어의 실을 따라 또 다른 마음 속 깊이로 들어가 또 다른 내면과의 만남. 가장 중요하고 긴급한 질문을 실에 매달아 다른 자아에게 보내는 것. 그 실을 믿고 다른 자아에게 보내는 것입니다.
어렸을 때부터 저는 알고 싶었습니다.
우리가 태어난 이유. 고통과 사랑이 존재하는 이유. 이러한 질문은 수천 년 동안 문학이 던져온 질문이며, 오늘날에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우리가 이 세상에 잠시 머무는 것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무슨 일이 있어도 인간으로 남는다는 것은 얼마나 어려운 일일까요? 가장 어두운 밤, 우리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묻는 언어, 이 지구에 사는 사람들과 생명체의 일인칭 시점으로 상상하는 언어, 우리를 서로 연결해주는 언어가 있습니다. 이러한 언어를 다루는 문학은 필연적으로 일종의 체온을 지니고 있습니다. 필연적으로 문학을 읽고 쓰는 작업은 생명을 파괴하는 모든 행위에 반대되는 위치에 서 있습니다. 문학을 위한 이 상이 주는 의미를 이 자리에 함께 서 있는 여러분과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아이와 수상소감의 의미에 대해 이야기 나누는 팁
아이에게 한강 작가님의 수상소감을 읽어주니
아이의 첫 반응 "와~"
그래서 아이랑 좀더 자세히 이야기 나누고 싶었어요.
1. 우리 존재의 의미
쉽게 설명하기:
"한강 작가님은 사람들이 오랫동안 이런 질문을 해왔대.
'왜 우리가 태어났을까?',
'왜 세상엔 힘든 일도 있고 사랑도 있을까?' 같은 질문 말이야. 이런 질문들을 글로 쓰면서 답을 찾으려는 게 문학이야."
아이와 대화 이어가기:
"넌 왜 우리가 이 세상에 살고 있다고 생각해? 혹시 그런 생각 해본 적 있어?"
2. 문학의 의미
쉽게 설명하기:
"문학은 사람들이 글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연결되게 해줘.
한강 작가님은 그걸 '우리에게 묻는 언어'라고 했어.
'우리는 왜 여기 있을까?' 같은 질문을 함께 생각하게 해주는 거야."
아이와 대화 이어가기:
"너는 어떤 이야기를 친구들과 나누고 싶어? 너도 그런 글을 써보고 싶지 않아?"
책육아를 하다보면
아이에게 지식류의 책을 읽으라고 강요아닌 강요를 할 때가 있어요.
그런데 한강 작가님의 수상 소감을 들으며
아이가 평소에 좋아하는 문학을 더 많이 읽고
더 많이 살아있음을 느끼고
더 많이 존재의 가치에 대해 고민하고 생각하는 시간을 가지길 바라게 되었어요.
여러분도 아이와 함께 한강작가님의 수상소감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너의 별을 따라가라 / 임창덕
직장생활 30여 년을 마무리하는 시점이다. 어리바리한 모습으로 어색한 양복에 새 구두를 신고 첫 출근하던 날이 어제처럼 선명한데 어느덧 긴 세월이 흘렀다. 그동안 인간관계로, 업무 관계로 시련도 있었겠지만 망각 덕분에 기억은 가물가물하고, 무사히 은퇴하게 된다는 안도감과 감사의 마음이 스멀스멀 밀려드는 요즘이다. 승진이나 인사이동으로 좌절과 무의미한 패배감에 젖은 적도 많았고, 진정한 내가 아닌 공허한 타자의 시선으로 나를 객관화한 적도 많았다.20대 시작해 50세 중반까지 인생 전체를 한 직장에서 보냈고, 다시 그때의 첫 마음으로 삶의 반환점이자 인생 후반전을 위한 출발선에 다시 혼자 서게 됐다. "왔노라, 어디서 온지도 모르면서. 있노라, 누구인지도 모르면서. 가노라,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면서"라는 시구처럼 어디로 가는지, 내가 누구인지,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고 살아온 듯하다. 경험은 결코 늙지 않는다는 말처럼 이제는 그동안 발견한 적성과 강점을 찾아 사회에 환원하고 싶다.미래 세대는 일생 동안 3개 이상 영역에서 5개 이상 직업을 갖고 19개 이상의 서로 다른 직무를 경험할 것이라는 예측이 있다. 수명이 길어지는 만큼 우리는 또 다른 일을 찾을 수밖에 없다. 놀아 봐야 일터가 낙원임을 안다는 것처럼 취업하기 힘든 요즈음 몇 차례 입사원서를 쓰면서 드는 생각이 있다. 나이에는 장사가 없다는 것과 이력서를 거꾸로 써 볼 필요가 있다는 것. 현재 정년 60세를 기준으로 한다면 은퇴 후 일할 수 있는 시간이 길지 않아 재취업이 쉽지 않다. 그리고 나름 다양한 자격증을 따고 관련 공부도 했지만 정작 필요없는 자격증도 있다는 점이다. 직장생활을 갓 시작하는 시점에서 인생 2막에 필요한 이력서를 미리 써 보는 것도 좋을 듯싶다. 미래의 이력서와 직무수행계획서를 써 보면서 자신에게 필요한 자격증과 경력이 무엇인지 알게 돼 이에 맞는 공부와 경력을 체계적으로 쌓을 수 있다. 나무는 꽃을 버려야 열매를 맺을 수 있고, 강물은 강을 버려야 바다에 이를 수 있다(화엄경)*.
과거의 일, 욕심, 타인과의 비교 등을 잊고 다시 시작하는 마음으로 남은 삶을 구상하고 싶다. 나는 내 운명의 주인, 내 영혼의 선장이니까. 그리고 나의 운명을 사랑하며 포르투나(행운의 여신) 앞에서 스스로 겸손해질 것이다. 단체의 「신곡」 지옥 편에는 "내 인생 최전성기에 문득 뒤를 돌아보니, 어두운 숲속에서 길을 잃고 있는 나 자신을 발견했다"라는 구절이 있다. 이때 단테의 스승 브루네토 라티니는 "너의 별을 따라가라. 그러면 너의 천국에 이를 것이다"라고 답한다. 누구에게나 생각하는 별이 있다. 나도 평소 꿈꾸던 별을 따라 원하는 곳에 닿고자 노력할 것이다.앞으로 우리는 얼어붙은 과거와 제한된 미래 속에 살게 된다. 약해지거나 무너지는 마음의 균형을 찾기를 간절히 바라면서 자책하지 않고 우울감과 나의 일부가 떨어져 나가는 상실감이나 무력감이 밀려오지 않기를. 그리고 남은 인생 무병하고 마지막 순간까지 노력하는 삶이기를.
*樹木等到花 謝才能結果 江水流到舍 江才能入海(수목등도화 사재능결과 강수류도사 강재능입해) 꽃을 버려야 열매를 맺는 것이고 강물은 강을 떠나야만 바다에 이른다는 말이다.
'연설, 졸업식치사, 칼럼, 기사, 논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rshal MacArthur's farewell speech (0) | 2023.12.14 |
---|---|
교육장 취임사 (0) | 2023.02.22 |
우리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0) | 2022.05.19 |
법륜 스님 주례사 (0) | 2021.10.12 |
19금 웹툰 그리는 그녀는 철벽녀 (0) | 2021.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