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수필

113. 풍란

by 자한형 2021. 12. 28.
728x90

풍란(風蘭) 이병기

나는 난()을 기른 지 20여 년, 20여 종으로 30여 분()까지 두었다. 동네 사람들은 나의 집을 화초집이라기도 하고, 난초 병원이라기도 한다. 화초 가운데 난이 가장 기르기 어렵다. 난을 달라는 이는 많으나, 잘 기르는 이는 드물다. 난을 나누어가면 죽이지 않으면 병을 내는 것이다. 난은 모래와 물로 산다. 거름을 잘못하면 죽든지 병이 나든지 한다. 그리고 볕도 아침 저녁 외에는 아니 쬐어야 한다. 적어도 10년 이상 길러 보고야 그 미립이 난다 하는 건, 첫째 물 줄 줄을 알고, 둘째 거름 줄 줄을 알고, 셋째 위치를 막아줄 줄을 알아야 한다. 조금만 촉랭(觸冷)해도 감기가 들고 뿌리가 얼면 바로 죽는다.

이건 서울 계동(桂洞) 홍술햇골에서 살 때 일이었다. 휘문중학교의 교편을 잡고, 독서(讀書작시(作詩)도 하고, 고서도 사들이고, 그 틈으로써 난을 길렀던 것이다. 한가롭고 자유로운 맛은 몹시 바쁜 가운데에서 깨닫는 것이다. 원고를 쓰다가 밤을 새우기도 왕왕 하였다. 그러하면 그러할수록 난의 위안이 더 필요하였다. 그 푸른 잎을 보고 방렬(芳烈)한 향을 맡을 순간엔, 문득 환희의 별유세계(別有世界)에 들어 무아·무상(無我無想)의 경지에 도달하기도 하였다.

그러다가 조선어학회 사건에 피검되어 홍원·함흥서 2년 만에 돌아와 보니, 난은 반수 이상이 죽었다. 그해 여산(礪山)으로 돌아와서 십여 분을 간신히 살렸다. 갑자기 8.15 해방이 되자 나는 서울로 또 가 있었다. 한겨울을 지내고 와 보니 난은 모두 죽었고, 겨우 뿌리만 성한 것이 두어 개 있었다. 그걸 서울로 가지고 가 또 살려 잎이 돋아나게 하였다. 건란(建蘭)과 춘란(.)이다. 춘란은 중국 춘란이 진기한 것이다. 꽃이나 보려하던 것이, 6·25 사변으로 피난하였다가 그 다음해 여름에 가 보니, 장독대 옆 풀섶 속에 그 고해 (枯骸)만 엉성하게 남아 있었다.

그 후 전주로 와 양사제(養士齊)에 있으매, 소공(素空)이 건란 한 분()을 주었고, 고경선 군이 제주서 풍란 한 등걸을 가지고 왔다. 풍란에는 웅란(雄蘭자란(雌蘭) 두 가지가 있는데, 자란은 이왕 안서(岸曙) 집에서 보던 그것으로서 잎이 넓죽하고, 웅란은 잎이 좁고 빼어났다. 물을 자주 주고, 겨울에는 특히 옹호하여, 자란은 네 잎이 돋고 웅란은 다복다복하게 길었다. 벌써 네 해가 되었다.

십여 일 전 나는 바닷게를 먹고 중독되어 곽란이 났다. 5,6일 동안 미음만 마시고 인삼 몇 뿌리 다려 먹고 나았으되, 그래도 병석에 누워 더 조리하였다. 책도 보고, 시도 생각해 보았다. 풍란은 곁에 두었다. 하이얀 꽃이 몇 송이 벌렸다. 방렬(芳烈청상(淸爽)한 향이 움직이고 있다. 나는 밤에도 자다가 깨었다. 그 향을 맡으며 이렇게 생각을 하여 등불을 켜고 노트에 적었다.

잎이 빳빳하고도 오히려 영롱(瑛瓏)하다. 썩은 향나무 껍질에 옥() 같은 뿌리를 서려 두고, 청량(淸凉)한 물기를 머금고 바람으로 사노니.

꽃은 하이하고도 여린 자연(紫然) 빛이다.

높고 조촐한 그 품()이며 그 향(),

숲 속에 숨겨 있어도 아는 이는 아노니.

완당 선생이 한묵연이 있다듯이 나는 난연(蘭緣)이 있고 난복(蘭福)이 있다. 당귀자·계수(械樹)나무도 있으나, 이 웅란(雄蘭)에는 백중(伯仲)할 수 없다. 이 웅란은 난 가운데에도 가장 진귀(珍貴)하다.

'간죽향수문주인(看竹向須問主人)'이라 하는 시구가 있다. 그도 그럴듯하다.

나는 어느 집에 가 난을 보면, 그 주인이 어떤 사람 인가를 알겠다. 고서(古書) 도 없고, ()도 없이 되잖은 서화(書畵)나 붙여 논 방은, 비록 화려 광활하다 하더라도 그건 한 요릿집에 불과하다. 두실와옥(斗室蝸屋)이라도 고서 몇 권, 난 두어 분, 그리고 그 사이 술이나 한 병을 두었다면 삼공(三公)을 바꾸지 않을 것 아닌가!

빵은 육체나 기를 따름이지만 난은 정신을 기르지 않는가!

 

 

'현대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5. 피딴문답  (0) 2021.12.29
114. 플루트 연주자  (0) 2021.12.29
112. 풍경 뒤에 있는 것  (1) 2021.12.28
110. 파초  (0) 2021.12.28
109. 특급품  (0) 2021.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