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수필4

69. 마중물

by 자한형 2022. 2. 26.
728x90

마중물/ 정여송

여기 있었네그려. 이런 산골로 들어오니 만날 수 있구먼. 얼마만인가, 근 사십년만이 아니가 싶네. 그러고 보니 우린 죽마고우일세.

내가 초등학교라는 데를 막 들어갔을 때 말이야. 그 시절에 자네는 신식이란 바람을 몰고 왔어. 어린 눈으로 처음 봤을 때 괴물이라고 생각했었지. 사람 형상을 했으면서도 머리가 없었고, 반기듯 양팔은 벌렸지만 짝짝이 팔을 가졌고, 한 다리로 서 있는 것이 볼썽사나웠다네. 야트막한 판자 지붕 밑에 혼자 있는 모습은 왜 그리도 측은해 보이던지. 선생님이 자네를 가리키며 펌프우물하던 생각이 생생하구먼.

차츰, 여느 동네에서도 만날 수 있게 되었지. 자네는 젊은 아낙이었던 우리 어머니들의 물 긷는 고충을 덜어주었어. 퍽 좋아들 하셨다네. 마음은 드러내지 않으면서도 깊은 속 얘기를 흥건하게 토해냈잖아. 알 수 없었던 것은 열심히 일하다가도 쉼이 깊어지면 한없이 나태해졌어. 피식피식 바람 새는 소리도 냈지. 그러다가 한 바가지 물로 목을 적시면 언제 그랬냐는 듯 부지런쟁이가 되곤 했다네.

그러네. 자네에겐 몸 속 깊이 간직한 많은 물만큼이나 소중히 여기는 작은 물이 있었다네. 한 바가지의 그 물 말일세.

깊은 물을 마중하러 나가는 물

물씨

마중물

, 마중물.”

어감이 좋아 자꾸 불러보게 되는구먼. 마중 나가는 그리운 추억 때문인가 보네. 우리 집에는 마당 한가운데 너른 화단이 있었는데 꽃나무가 아주 많았다네. 그 숱한 꽃 중에서도 라일락과 불두화와 능소화는 지금도 가슴 속에 피어 바람만 불어도 일렁거리지. 화단 귀퉁이에 무리지어 피던 노란 달맞이꽃은 또 어떻고, 해가 지고 달이 떠오를 무렵이면 들려주던 신기한 소리를 자네도 들어봤을 거야. , 톡톡, 톡톡, 여기저기서 꽃망울이 달마중하느라 벙그러지던 그 소리를 말이야.

내겐 언니가 넷이 있지. 언니들을 참 좋아했네. 셋째와 넷째 언니가 외지에 나가 공부했는데 주말이면 집에 왔어. 언니들을 마중 가서 손잡고 걸어오던 길. 신작로 양옆으로 키 큰 코스모스가 만발했었지. 마중이란 말만 들어도 그 길은 곰살맞게 눈물샘 위로 떠오른다네.

내가 공직에 있을 때 말인데 좀 늦은 퇴근을 하는 날이 있었지. 그런 날이면 노모도 어김없이 나를 마중했어. 그때도 손을 잡고 걸었지. 어머니는 손에 힘을 주면서 무언의 사랑을 흘려보냈다네. 그때마다 전광석화가 지나가는 것처럼 전율을 느끼곤 했어. 어떠한 불덩이가 그보다 뜨거울까. 그리워서 얼굴 내미는 추억들이 하나도 아니고, 둘도 아니고, 열을 넘는다네.

고요한 대낮. 실로 오랜만에 한적한 산골에서 자네를 만나니 반갑네그려. 손 한번 잡아볼까나. 목이 마른가보구먼. 함지박에 받아놓은 물이라네. 한 모금 마셔보게나. 자네 몸 속으로 흘러드는 마중물의 몸짓이 보이는 듯하네. 자네의 한 팔을 잡고 오르락내리락 힘질을 해보네. 콸콸콸콸호탕하고 질퍽한 웃음소리를 쏟아내는 것은 지금도 여전하네그려.

겉은 차갑고 흉해도 속은 따스하고 늡늡하던 자네 아닌가. 갈증 난 목을 축여주는 한 모금의 물을 감지덕지하며 몇 십 배, 몇 백배로 불려주는 마음, 본받아야 할 심성이네. 이 세상에 그런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지금은 많이 아는 것보다도 가진 것이 풍족하여 씀씀이가 큰 수도족(水道族)’을 선호하는 세상이라네. 자네 같은 펌프족은 여운 가득한 자가 붙었으니 이제는 동화나라로 이민 가서 터를 잡아야 할 걸세. 넉넉하지만 함부로 퍼내지 아니하는 자네의 뜻을 누가 알겠나. 난 마중물로 먼저 입맛을 당기려는 자네의 고집이 좋네그려. 운치야 우물족이 최고이긴 하지, 소박하기도 하고. 그러나 두레박을 올리고 내리는 수고만큼만 주는 깍듯함이 있잖아. 넘치도록 퍼주거나 덤으로 얹어주는 것은 예()가 아니라는 고지식함을 가지고 있지.

해가 우리를 보며 따사로이 웃고 있네그려. 자네에게도 온기가 흐르는구먼.

마중물에 대해 생각을 해 보네. 그저 한 바가지의 물인데, 그것이 무엇이기에 몸 속으로 들어가 고인 물을 흔들고 깨워서 기지개를 켜고 일어나게 하는가. 그것이 무엇이기에 의욕이 살아 움직이고 열정이 넘쳐 세상 밖으로 솟구치게 하는가. 촉진제거나 자극제가 분명하구먼. 아니면 희생제물인 건가. 아닐세, 아니야. 난 자비지심이라 풀어보고 싶구먼.

이보게. 내 삶에 있어서도 마중물이 있을 것 같은데 그것이 무엇인지 모르겠네. 나도 그거 하나 소중히 간직하고 싶네. 마시지 않고 다시 토해내야 하는 첫물이라 할지라도 그것을 들이키면 예지와 용기가 생겨나 아름다운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도록 말일세. 그래서 마음이 머무는 곳마다 향기를 남길 수 있으면 좋겠네. 간혹 바다와 같은 왕양한 기상이 품어 나오고, 파도와 같은 격렬한 정열을 부려보기도 하며, 구름같이 발발한 야심도 펼칠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지.

함께 있어도 저마다 고독한 세상이라네. 그래서 마중물 같은 사람들의 마음이 그립다네. 책 속에서 만난 상인들의 희생심에서 볼 수 있었던 것 말일세. 더러는 수고나 고통을 대신 짊어지고 살아가는 낮은 자리의 사람들에게서 엿볼 수 있지. 그들은 빛보다도 소금이 되기를 바라는 사람들이라네. 밝지만 그림자를 드리우는 빛이 아니라 보이지 않게 스스로 녹으며 말없이 도와주는 소금 말일세.

그 사람들의 삶이 끌어올린 물로 나는 밥도 짓고 빨래도 하고 목욕도 하며 화분에도 시원하게 뿌린다네.

나는 누구의 마중물이 될꼬!

여기 있었네그려. 이런 산골로 들어오니 만날 수 있구먼. 얼마만인가, 근 사십년만이 아니가 싶네. 그러고 보니 우린 죽마고우일세.

내가 초등학교라는 데를 막 들어갔을 때 말이야. 그 시절에 자네는 신식이란 바람을 몰고 왔어. 어린 눈으로 처음 봤을 때 괴물이라고 생각했었지. 사람 형상을 했으면서도 머리가 없었고, 반기듯 양팔은 벌렸지만 짝짝이 팔을 가졌고, 한 다리로 서 있는 것이 볼썽사나웠다네. 야트막한 판자 지붕 밑에 혼자 있는 모습은 왜 그리도 측은해 보이던지. 선생님이 자네를 가리키며 펌프우물하던 생각이 생생하구먼.

차츰, 여느 동네에서도 만날 수 있게 되었지. 자네는 젊은 아낙이었던 우리 어머니들의 물 긷는 고충을 덜어주었어. 퍽 좋아들 하셨다네. 마음은 드러내지 않으면서도 깊은 속 얘기를 흥건하게 토해냈잖아. 알 수 없었던 것은 열심히 일하다가도 쉼이 깊어지면 한없이 나태해졌어. 피식피식 바람 새는 소리도 냈지. 그러다가 한 바가지 물로 목을 적시면 언제 그랬냐는 듯 부지런쟁이가 되곤 했다네.

그러네. 자네에겐 몸 속 깊이 간직한 많은 물만큼이나 소중히 여기는 작은 물이 있었다네. 한 바가지의 그 물 말일세.

깊은 물을 마중하러 나가는 물

물씨

마중물

, 마중물.”

어감이 좋아 자꾸 불러보게 되는구먼. 마중 나가는 그리운 추억 때문인가 보네. 우리 집에는 마당 한가운데 너른 화단이 있었는데 꽃나무가 아주 많았다네. 그 숱한 꽃 중에서도 라일락과 불두화와 능소화는 지금도 가슴 속에 피어 바람만 불어도 일렁거리지. 화단 귀퉁이에 무리지어 피던 노란 달맞이꽃은 또 어떻고, 해가 지고 달이 떠오를 무렵이면 들려주던 신기한 소리를 자네도 들어봤을 거야. , 톡톡, 톡톡, 여기저기서 꽃망울이 달마중하느라 벙그러지던 그 소리를 말이야.

내겐 언니가 넷이 있지. 언니들을 참 좋아했네. 셋째와 넷째 언니가 외지에 나가 공부했는데 주말이면 집에 왔어. 언니들을 마중 가서 손잡고 걸어오던 길. 신작로 양옆으로 키 큰 코스모스가 만발했었지. 마중이란 말만 들어도 그 길은 곰살맞게 눈물샘 위로 떠오른다네.

내가 공직에 있을 때 말인데 좀 늦은 퇴근을 하는 날이 있었지. 그런 날이면 노모도 어김없이 나를 마중했어. 그때도 손을 잡고 걸었지. 어머니는 손에 힘을 주면서 무언의 사랑을 흘려보냈다네. 그때마다 전광석화가 지나가는 것처럼 전율을 느끼곤 했어. 어떠한 불덩이가 그보다 뜨거울까. 그리워서 얼굴 내미는 추억들이 하나도 아니고, 둘도 아니고, 열을 넘는다네.

고요한 대낮. 실로 오랜만에 한적한 산골에서 자네를 만나니 반갑네그려. 손 한번 잡아볼까나. 목이 마른가보구먼. 함지박에 받아놓은 물이라네. 한 모금 마셔보게나. 자네 몸 속으로 흘러드는 마중물의 몸짓이 보이는 듯하네. 자네의 한 팔을 잡고 오르락내리락 힘질을 해보네. 콸콸콸콸호탕하고 질퍽한 웃음소리를 쏟아내는 것은 지금도 여전하네그려.

겉은 차갑고 흉해도 속은 따스하고 늡늡하던 자네 아닌가. 갈증 난 목을 축여주는 한 모금의 물을 감지덕지하며 몇 십 배, 몇 백배로 불려주는 마음, 본받아야 할 심성이네. 이 세상에 그런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지금은 많이 아는 것보다도 가진 것이 풍족하여 씀씀이가 큰 수도족(水道族)’을 선호하는 세상이라네. 자네 같은 펌프족은 여운 가득한 자가 붙었으니 이제는 동화나라로 이민 가서 터를 잡아야 할 걸세. 넉넉하지만 함부로 퍼내지 아니하는 자네의 뜻을 누가 알겠나. 난 마중물로 먼저 입맛을 당기려는 자네의 고집이 좋네그려. 운치야 우물족이 최고이긴 하지, 소박하기도 하고. 그러나 두레박을 올리고 내리는 수고만큼만 주는 깍듯함이 있잖아. 넘치도록 퍼주거나 덤으로 얹어주는 것은 예()가 아니라는 고지식함을 가지고 있지.

해가 우리를 보며 따사로이 웃고 있네그려. 자네에게도 온기가 흐르는구먼.

마중물에 대해 생각을 해 보네. 그저 한 바가지의 물인데, 그것이 무엇이기에 몸 속으로 들어가 고인 물을 흔들고 깨워서 기지개를 켜고 일어나게 하는가. 그것이 무엇이기에 의욕이 살아 움직이고 열정이 넘쳐 세상 밖으로 솟구치게 하는가. 촉진제거나 자극제가 분명하구먼. 아니면 희생제물인 건가. 아닐세, 아니야. 난 자비지심이라 풀어보고 싶구먼.

이보게. 내 삶에 있어서도 마중물이 있을 것 같은데 그것이 무엇인지 모르겠네. 나도 그거 하나 소중히 간직하고 싶네. 마시지 않고 다시 토해내야 하는 첫물이라 할지라도 그것을 들이키면 예지와 용기가 생겨나 아름다운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도록 말일세. 그래서 마음이 머무는 곳마다 향기를 남길 수 있으면 좋겠네. 간혹 바다와 같은 왕양한 기상이 품어 나오고, 파도와 같은 격렬한 정열을 부려보기도 하며, 구름같이 발발한 야심도 펼칠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지.

함께 있어도 저마다 고독한 세상이라네. 그래서 마중물 같은 사람들의 마음이 그립다네. 책 속에서 만난 상인들의 희생심에서 볼 수 있었던 것 말일세. 더러는 수고나 고통을 대신 짊어지고 살아가는 낮은 자리의 사람들에게서 엿볼 수 있지. 그들은 빛보다도 소금이 되기를 바라는 사람들이라네. 밝지만 그림자를 드리우는 빛이 아니라 보이지 않게 스스로 녹으며 말없이 도와주는 소금 말일세.

그 사람들의 삶이 끌어올린 물로 나는 밥도 짓고 빨래도 하고 목욕도 하며 화분에도 시원하게 뿌린다네.

나는 누구의 마중물이 될꼬!

 

 

 

'현대수필4' 카테고리의 다른 글

71. 밀어내기와 끌어안기  (0) 2022.02.26
70. 목욕탕집 할머니  (0) 2022.02.26
68. 등을 밀고 가는 것은  (0) 2022.02.26
67. 대금산조  (0) 2022.02.16
66. 당신의 의자  (0) 2022.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