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살 것인가 손명현(孫明鉉)
“어떻게 살 것인가?"
이 물음은 실천(實薦)의 문제(問題)다. 그러므로, 말하는 사람 자신(自身)이 그의 말대로 실천 궁행(實踐躬行)하지 않는 한(限) 천만 어(千萬語)를 나열(羅列)한다 해도 대답(對答)이 되지 않을 것이다.
“아침에 도(道)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1)
이 말은 공자(孔子)가 한 말로, 사람들은 이 말을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훌륭한 대답으로 믿어 온다. 그러나, 옛날의 웬만한 유생(儒生)들이라면, 이 정도(程度)의 말은 누구나 할 수 있고, 또 하기도 했을 것이다. 그런데도 유독(唯獨) 공자의 말만이 그 대답으로 믿어지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공자의 실천 궁행을 생각지 않을 수 없다.
수 년 전(數年前)에 나는 오대산(五臺山)엘 간 일이 있다. 거기는 유명한 고찰(古刹) 월정사(月精寺)와 상원사(上院寺)가 있다. 그런데, 월정사는 불탄 뒤에 새로 지었기 때문에 옛 모습을 볼 길 없었으나, 상원사만은 그대로 남아 있었다. 나는 거기서, 이 절이 그 전란(戰亂) 속에서도 그대로 남게 된 연유(緣由)를 들었다.
상원사는 방 한암(方漢巖) 선사(禪師)가 주지(住持)로서 생명(生命)을 마친 곳이다. 6․25 사변(事變) 때였다. 국군(國軍)은 남침(南侵)하는 침략군(侵略軍)을 격퇴(擊退)하여 북상(北上)했다가, 중공군(中共軍)의 개입(介入)으로 후퇴(後退)하게 되었다. 그 때, 국군은 이 두 절이 적군(敵軍)에게 유리(有利)한 엄폐물(掩蔽物)이 되기 때문에 작전상(作戰上) 불태우지 않을 수 없는 처지(處地)에 있었다. 그래서, 국군은 월정사를 불태우고, 상원사로 가 스님들을 피하라고 했다. 방 선사(方禪師)는 며칠 동안의 유예(猶豫)를 청했다. 그 동안 선사는 스님들을 모두 하산(下山)시키고 혼자 남았다. 약속(約束)한 날에 국군이 가 보니, 선사는 의자에 단좌(端坐)한 채 절명(絶命)해 있었다. 그 장엄(莊嚴)한 광경(光景)을 본 국군은 그대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상원사는 남은 것이다.
작전(作戰)하는 처지에서 보면, 절을 수호(守護)한 선사(禪師)에게나 절을 불태우지 않은 군인(軍人)들에게나 우리는 다 같이 할 말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신념(信念)을 위하여 신명(身命)을 도(賭)한 선사의 높은 행동(行動), 그리고 비록 군인으로는 잘못이라 할지라도, 그 높은 행동 앞에 옷깃을 여미고 떠난 그 군인들의 가장 인간적(人間的)인 행동은 우리에게 큰 감명(感銘)과 함께,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암시(暗示)를 줌에 족하지 않은가.
내가 어려서 읽은 오 봉(吳鳳)의 이야기도, 생각할 때마다 이런 감명과 암시를 준다. 옛날, 타이완[臺灣]의 산간(山間)에는 사람의 목을 베어 제사(祭祀)를 지내는 풍습(風習)이 있었다. 그런데, 그 가운데 아리산(阿里山)의 토인(土人)들은 다른 데 사는 토인들보다 앞서 이 악습(惡習)을 없앴는데, 그건 오 봉이란 사람의 살신(殺身)한 결과(結果)였다.
오 봉은 중국(中國)에서 건너간 선교사(宣敎師)로, 아리산 토인들의 교화(敎化)에 힘썼는데, 나중에는 그들의 추장(酋長)으로 추대(推戴)되었다. 토인들은 오 봉을 하느님같이 숭배(崇拜)하고 따랐다. 그러나, 그 악습을 버리자는 말은 듣지 않았다. 오 봉은 하는 수 없이, 내년(來年)에는 허락(許諾)할 테니 금년(今年)만은 참으라고 했다. 그래서, 1년을 무사(無事)히 지냈다. 그리고, 다음 해도 그렇게 해서 또 1년을 넘겼다. 그러나, 3년째는 듣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반란(叛亂)이라도 일으킬 기세(氣勢)였다. 그 때 오 봉은, 그들에게 아무 날 아무 때 아무 곳에 가 보면 붉은 모자를 쓰고 붉은 옷을 입은 나그네가 지나갈 것이니, 그의 목을 베어 제사(祭祀)를 지내라고 했다. 토인들은 좋아하며 그 날 그 때 그 곳으로 가 보니, 추장(酋長)이 말한 대로 그런 나그네가 있었다. 이에 그들은 아무것도 살피지 않고 그의 목을 베고 보니, 그가 바로 하느님처럼 숭배(崇拜)하고 따르던 오 봉이 아닌가. 그들은 대성 통곡(大聲痛哭)을 하고, 재래(在來)의 악습을 청산(淸算)했으며, 그 후로 오봉의 기일(忌日)이 되면 붉은 옷을 입고 그의 덕(德)을 추모(追慕)한다는 것이다.
오 봉의 행동이 최선(最善)의 길이었던가에 관해선 서로 다른 의견(意見)이 나올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가르침을 펴고자 생명을 초개(草芥)처럼 버린 그의 거룩한 행동은, 우리에게 큰 감명(感銘)과,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암시를 줌에 부족(不足)함이 없을 것이다.
인류 역사(人類歷史), 아니 우리 나라의 역사(歷史)만 보아도 살신성인(殺身成仁)한 분들을 허다(許多)하게 찾아볼 수 있다. 그와 동시에, 그 반대(反對)의 경우(境遇)도 찾아 볼 수 있다. 군자(君子)는 의(義)에 민첩(敏捷)하고, 소인(小人)은 이(利)에 민첩하다고 하거니와, 우리가 위에서 제기(提起)한 바 '어떻게 살 것인가' 하는 문제도, 결국은 군자의 길을 걸을 것인가, 소인의 길을 걸을 것인가 하는 문제에 귀결(歸結)된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런 문제를 제기하고 천만 마디로 대답한다 한들 그것이 무슨 소용(所用)이 있는가? 방 한암처럼, 오 봉처럼 실천(實踐)하지 않는 한…….
'현대수필2' 카테고리의 다른 글
84. 우리동네 예술가 두사람 (0) | 2022.01.10 |
---|---|
83. 어머니의 감 (0) | 2022.01.10 |
81. 시선, 그 너머 (0) | 2022.01.10 |
80. 시간의 빈터에서 (1) | 2022.01.10 |
79. 설 (0) | 2022.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