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출석부 1 /박완서
작년 가을에 이웃집에서 복수초를 나누어 받았다. 뿌리는 구근이 아니라 흑갈색 잔뿌리와 검은 흙이 한데 엉겨 있고 키는 땅에 닿을 듯이 작은데 잎도 새의 깃털처럼 잘게 갈라져 있어서 전체적으로 볼륨이 느껴지지 않아 하찮은 잡초처럼 보였다. 그전에 나는 복수초라는 화초를 사진으로 본 적은 있지만, 실물을 본 적은 없기 때문에 그게 과연 눈 속에서 핀다는 그 복수초인지 잘 믿기지 않았다.
생각해서 나누어 준 분 앞이라 당장 양지바른 곳에 심긴 했지만, 곧 가을이 깊어지니 워낙 시원치 않아 보이던 이파리들은 자취도 없어지고 나 역시 그게 있던 자리조차 기억 못 하게 되었다. 아마 3월이 되자마자였을 것이다. 샛노란 꽃이 두 송이 땅에 닿게 피어 있었다. 하도 키가 작아서 하마터면 밟을 뻔했다. 빛깔은 진한 황금색이어서 아직 아무것도 싹트지 않은 황량한 마당에 몹시 생뚱스러워 보였다. 그리고 곧 큰 눈이 왔다 아무리 눈 속에서도 피는 꽃이라고 알려져 있어도 작은 키로 견디기엔 너무 많은 눈이었다.
나는 눈으로는 눈의 무게를 이기지 못해 꺾인 듯이 축 처진 소나무 가지를 바라보면서 마음으로는 그 샛노란 꽃의 속절없음을 생각하고 있었다. 대문 밖의 눈은 치워주었지만 마당의 눈은 그대로 방치해 두었기 때문에 녹아 없어지는 데 며칠 걸렸다 놀랍게도 제일 먼저 녹은 데가 복수초 언저리였다. 고 작은 풀꽃에 머리칼 같은 뿌리가 땅속 어드메서 따뜻한 지열을 길어 올렸기에 복수초는 그 두터운 눈을 녹이고 더욱 샛노랗게 더욱 싱싱하게 해를 보고 있었다. 온종일 그렇게 피어 있다가 해질 무렵에는 타원형으로 오므라든다.
그러다가 아주 시들어 버릴 줄 알았는데 다음날 해만 뜨면 다시 활짝 핀다. 그러나 마냥 그럴 수는 없는 일이다. 곧 안 깨어나고 져 버리는 날이 있겠기에 그게 피어 있는 동안만이라도 누구에겐가 보여주고 자랑하고 싶어서 나는 집에 손님만 오면 그걸 구경시킨다. 그러나 내가 기대하는 것만치 신기해 해 주는 이가 별로 없다. 어떤 친구는 마당에 피는 꽃이 1백 가지도 넘는다고 해서 부러워했는데 이런 것까지 쳐서 1백 가지냐고 기막힌 듯이 물었다. 듣고 보니 내가 그런 자랑을 한 적이 있는 것 같았다. 그러나 거짓말을 한 건 아니다.
그 친구는 아마 기화요초가 어우러진 광경을 상상했었나 보다. 내가 백 가지도 넘는다고 한 것은 복수초 다음으로, 피어날 민들레나 제비꽃, 할미꽃까지 다 합친 수효다. 올해는 복수초가 1번이 되었지만 작년까지만 해도 산수유가 1번이었다.
곧 4월이 되면 목련, 매화, 살구, 자두, 앵두, 조팝나무 등이 다투어 꽃을 피우겠지만, 그래도 조금씩 날짜를 달리해 순서대로 피면서 그 그늘에 제비꽃이나 민들레, 은방울꽃을 거느린다. 꽃이 제일 먼저 핀 것은 복수초지만 잎이 제일 먼저 흙을 뚫고 모습을 드러낸 것은 상사초이고 그 다음이 수선화다. 수선화는 벚꽃이 필 무렵에나 필 것 같고, 상사초는 잎이 시들어 지상에서 사라지고 나서도 한참이나 더 있다가 꽃대를 밀어 올릴 것이다.
이렇게 그것을 기다리고 마중하다 보니 내 머릿속에 출석부가 생기게 되고, 출석부란 원래 이름과 함께 번호를 매기게 되어 있는지라 1백 번이 넘는다는 걸 알게 되었다. 이름을 모르면 1백 번이라는 숫자도 나오지 않았을 것이다. 그것들이 순서를 지키지 않고 멋대로 피고 지면 이름이 궁금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내가 출석을 부르지 않아도 그것들은 올 것이다. 그래도 나는 그것들이 올해도 하나도 결석하지 않고 전원출석하기를 바라기 때문에 그것들이 뿌리로, 씨로 잠든 땅을 함부로 밟지 못한다. 그것들이 왕성하게 자랄 여름에는 그것들이 목마를까 봐 마음 놓고 어디 여행도 못할 것이다. 그것들은 출석할 때마다 내 가슴을 기쁨으로 뛰놀게 했다.
100식구는 대식구다 나에게 그것들을 부양할 마당이 있다는 건 생각만 해도 뿌듯한 행복감을 준다. 내가 이렇게 사치를 해도 되는 것일까? 괜히 송구스러울 때도 있다. 그것들은 내가 기다리지 않아도 올 것이다. 그래도 나는 기다린다. 기다리는 기쁨 때문에 기다린다
----------------------------------------------------------------------------
1) 구근 : 알뿌리, 지하에 있는 식물체의 일부인 뿌리나 줄기 또는 잎 따위가 달걀 모양으로 비대하여 양분을 저장한 것.
2) 볼륨(volume) : 부피감, 부피의 크기에서 오는 느낌
3) 생뚱스러워 : 하는 행동이나 말이 상황에 맞지 아니하고 엉뚱한 데가 있어
4) 속절없음 : 단념할 수밖에 달리 어찌할 도리가 없음
5) 언저리 : 둘레의 가 부분
6) 가화요초 : 옥같이 고운 뜰에 핀 구슬같이 아름다운 꽃.
'명사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flower attandence book 2 (2) | 2023.12.07 |
---|---|
꽃 출석부 2 (2) | 2023.12.04 |
The flower attendance book (2) | 2023.12.04 |
그리운 내가 온다2 (2) | 2023.10.20 |
그리운 내가 온다 (1) | 2023.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