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투 김소운
계절 중에서 내 생리에 가장 알맞은 계절이 겨울이다.
체질적으로 소양(小陽)인 데다 심열이 승(勝)하고 다혈질이다. 매양 만나는 이들이 술을 했느냐고 묻도록 얼굴에 핏기가 많고 침착 냉정하지 못해 일쑤 흥분을 잘한다. 아무리 추운 날씨라도 김나는 뜨거운 것보다 찬 음식을 좋아한다. 남국에서 보다는 눈 내리는 북국에 살고 싶다.
그러면서도 유달리 추위는 탄다. 추위에 대한 저항력이나 자신으로 겨울을 좋아하느니보다, 추위 속에서 그 추위를 방비하고 사는ㅡ 추위는 문 밖에 세워 두고 혼자서 뜨끈하게 군불 땐 방 속에 앉아 있고 싶은 이를테면 그런 <에고>의 심정이다.
눈보라 뿌리는 겨울 거리에 외투로 몸단속을 단단히 하고 나선, 그 기분이란 말할 수 없이 상쾌하다. 어느 때는 외투라는 것을 위해서 겨울이 있는 것 같은 착각마저 느낀다.
그런데도 나는 그 외투 없이 네 번째 겨울을 맞이한다. 무슨 심원(心願)이 있어서, 무슨 주의주장이 새로 생겨서 그러는 것은 아니다. 외투 두 벌은 도둑맞았고, 서울 갈 때 남에게 빌어 입고 간 외투 한 벌 조차도 잃어버리고, 그러고 나니 외투하고 실랑이하기가 고달프고 귀찮아졌다. 그냥 지낸다는 것이 한 해, 두 해ㅡ 벌써 네 해째다.
겨울의 즐거움을 모르고 겨울을 난다는 것은 슬픈 노릇이다. 하기야 외투뿐이랴ㅡ 가상다반(家常茶飯)의 일체의 낙(樂)이 일시 중단이다. 그러나 돌이켜 생각하면 가난하고 군색한 것이 나 하나만이 아니길레 도리어 마음 편하기도 하다.
벌써 십여 년ㅡ 채 십오 년까지는 못 됐을까?
하얼삔서 사오백 리를 더 들어간다는 무슨 현(縣)이라는 데서 청마(靑馬) 유치환이 농장 경영을 하다가 자금 문제인가 무슨 볼일이 생겨 서울에 왔던 길에 나를 만났다. 이삼 일 후에 결과가 시원치 못한 채 청마는 다시 북만(北滿주)으로 되돌아가게 되었다.
눈이 펑펑 내리는 날이었다. 역두에는 유치진 내외분ㅡ 그리고 몇몇 친구가 전송을 나왔다.
영하 사십 도의 북만(北滿)으로 돌아간다는 청마가, 외투 한 벌 없는 세비로(양복) 바람이다. 당자야 태연자약일지 모르나 곁에서 보는 내 심정이 편하지 못하다. 더구나 전송 나온 이 중에는 기름기 흐르는 낙타 오바를 입은 이가 있었다. 내 외투를 벗어주면 그만이다. 내 잠재의식은 몇 번이고 외투를 내가 벗기는 기분이다. 그런데 정작 미안한 노릇이 나도 외투란 것을 입고 있지 않았다.
발차 시간이 가까왔다.
내 전신을 둘러보아야 청마에게 줄 아무것도 내게는 없고, 포켓에 꽂힌 만년필 한 자루가 손에 만져질 뿐이다. 내 스승에게서 물려받은 프랑스제 <콩크링>ㅡ 요즘 <파카>니 <오터맨> 따위는 명함도 못 내놓을 최고급 만년필이다. 일본 안에도 열 자루가 없다고 했다.
만년필 가졌나?ㅡ 불쑥 묻는 내 말에, 무슨 뜻인지도 모르고 청마는 제 주머니에서 흰 촉이 달린 싸구려 만년필을 끄집어 내어 나를 준다.
그것을 받아서 내 주머니에 꽂고 콩크링을 청마 손에 쥐어 주었다.
만년필은 외투도 방한구도 아니련만, 그때 내 심정으로는 내가 입은 외투 한 벌을 청마에게 입혀 보낸다는 그런 기분이었다.
오륙 년 후에 하얼삔에서 청마와 재회했을 때, 그 만년필을 잃어버리지 않은 것이 고마왔다. 튜우브가 상해서 잉크를 찍어 쓴단 말을 듣고 서울서 고쳐서 우편으로 보내마고 약조하고 콩크링을 다시 내가 맡아 오게 되었다. 튜우브를 갈아 넣은 지 얼마 못 되어 그 콩크링은 내집 안사람이 잠시 가지고 나간 것을 스리(소매치기)가 채 갔다.
한국에 한 자루밖에 없을 그 청자색 콩크링이 혹시 눈에 뜨이지나 않나 해서 만년필 가게를 지나칠 때마다 쑥쓰럽게 들여다보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