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35 김광섭 (1904~1977) 광복 이후 『마음』, 『성북동 비둘기』, 『김광섭시전집』 등을 저술한 시인.독립운동가.개설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이산(怡山). 함경북도 경성 출신. 아버지는 김인준(金寅濬)이며, 3남3녀 중 장남이다.생애 및 활동사항1917년 경성공립보통학교를 졸업, 1920년 중앙고등보통학교를 중퇴하고 중동학교로 옮겨 1924년에 졸업했다. 1926년 일본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 영어영문학과에 입학하였다.같은 대학 불어불문학과에 적을 둔 이헌구(李軒求)와 친교를 맺었으며, 이어 정인섭(鄭寅燮)과 알게 되어 해외문학연구회에 가담하였다. 1932년 대학졸업 후 귀국하여 1933년 모교인 중동학교의 영어교사가 되었다.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했다 하여, 1941년 일본경찰에 붙잡혀 3년8.. 2021. 9. 26. 김기림 (1908~?) 일제강점기 『기상도』, 『태양의 풍속』 등을 저술한 시인.문학평론가.키워드기상도(氣象圖)개설아명은 인손(寅孫). 호는 편석촌(片石村). 함경북도 학성 출생.생애 및 활동사항1914년 임명보통학교(臨溟普通學校)에 입학, 1921년 서울 보성고등보통학교(普成高等普通學校) 중퇴 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의 릿쿄중학[立敎中學, 또는 名敎中學이라는 설도 있음]에 편입했다.1930년 니혼대학[日本大學] 전문부 문학예술과를 졸업한 후 귀국하여 조선일보사 사회부 기자로 입사, 뒤에 신설된 학예부 기자로 옮겼다.1933년 김유정(金裕貞)·이태준(李泰俊) 등과 구인회(九人會) 결성에 참가하고, 1936년에 재차 도일, 센다이(仙台)의 도호쿠대학[東北大學] 영문과에 입학, 1939년에 졸업했다. 졸업논문은 .. 2021. 9. 26. 김광균 (1914~1993) 해방 이후 『기항지』, 『황혼가』 등을 저술한 시인.실업가.생애 및 활동사항경기도 개성 출생. 송도상업학교(松都商業學校)를 졸업하고 고무공장 사원으로 군산(群山)과 용산(龍山) 등지에 근무하면서 어린 시절부터 시를 쓰기 시작하였다.불과 열세 살의 어린 나이에 발표한 「가신 누님」(中外日報, 1926)을 비롯하여 「야경차(夜警車)」(동아일보, 1930) 등이 그의 습작품에 해당된다면, 『시인부락(詩人部落)』(1936), 『자오선(子午線)』(1937) 동인으로 가담한 이후의 활동은 본격적인 시단 활동이라 할 수 있다. 특히, 1938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응모하여 당선된 「설야(雪夜)」는 그로 하여금 시단에서 확고한 위상을 확보하게 한 것이다.이후 그는 『와사등(瓦斯燈)』(남만서점,.. 2021. 9. 26. 김소월 (1902~1934) 일제강점기 「금잔디」, 「첫치마」, 「엄마야 누나야」 등을 저술한 시인.개설본관은 공주(公州). 본명은 김정식(金廷湜). 평안북도 구성 출생. 아버지는 김성도(金性燾), 어머니는 장경숙(張景淑)이다. 2세 때 아버지가 정주와 곽산 사이의 철도를 부설하던 일본인 목도꾼들에게 폭행을 당하여 정신병을 앓게 되어 광산업을 하던 할아버지의 훈도를 받고 성장하였다.생애 및 활동사항사립인 남산학교(南山學校)를 거쳐 오산학교(五山學校) 중학부에 다니던 중 3·1운동 직후 한때 폐교되자 배재고등보통학교에 편입, 졸업하였다.1923년 일본 도쿄상과대학 전문부에 입학하였으나 9월 관동대진재(關東大震災)로 중퇴하고 귀국하였다. 오산학교 시절에 조만식(曺晩植)을 교장으로 서춘(徐椿)·이돈화(李敦化)·김억(.. 2021. 9. 26. 이전 1 ···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