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수필4

문학의 언어

by 자한형 2022. 6. 24.
728x90

문학의 언어

한 계 전(韓啓傳)

모든 예술에는 각기 독특한 표현의 재료가 있다.무용은 몸짓을,음악은 소리를,미술은 색채나 돌,진흙 등을 가지고 미(美)를 표현하며,문학은 언어를 가지고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한다.

이 중에 언어는 오랜 세월 동안 인간의 의사 전달이나 생각의 도구로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여러 가지 면에서 많은 변화를 겪어 왔다.특히,언어의 기능은 사회가 발전하고 인지(人智)가 발달하면서 더욱 다양해졌으며,그것이 말로 쓰이느냐,글로 쓰이느냐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언어의 기능은 다음의 몇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우리는 언어를 통해 어떤 대상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거나 감정을 나타낼 수 있다. “진달래는 철쭉과에 속하는 식물로,그 꽃이 매우 이름답다.”라는 문장 속에는 진달래가 철쭉과에 속하는 식물이라는 지식과 함께 그 꽃을 아름답다고 느끼는 감정이 드러나 있다.

둘째,언어는 다른 언어의 뜻을 쉽게 풀이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예를 들어“장끼는 수꿩이다.”에서‘수꿩’은‘장끼’의 뜻을 풀이하기 위해 사용된 언어이다.

셋째,화자(話者)는 명령을 하여 청자(廳者)를 움직이게 하거나 선전과 설득을 통해 그로 하여금 어떤 일을 하고 싶다는 감정을 일으키게 한다.군대의 구령이나 신문,텔레비전 광고가 좋은 예이다.

넷째,일상 생활에서 우리는 별 뜻이 없는 말을 건네는 경우가 종종 있다. “식사 하셨어요?”, “안녕하세요?”등의 인사말은,경우에 따라서는 단지 상대방과 내가 친근한 사이임을 나타내는 인사말일 뿐,구체적인 뜻이 담겨 있지 않다.

문학 작품에 쓰이는 언어는 앞에서 살펴본 일상 언어(日常言語)와 그 기능이 다르다.일상 언어가 주로 구체적인 의사 전달의 기능을 가지는 반면에,문학적 언어는 정서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데 주된 기능이 있다.물론,이 경우라고 해서 언어의 의사 전달 기능이 없는 것은 아니며,문학의 갈래에 따라 비중이 다르게 나타날 뿐,그 기능은 그대로 유지된다.이러한 문학적 언어의 특성을 시(詩)와 산문(散文)으로 나누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자.

“내 마음은 호수요.”라는 시구(詩句)는 시인의 마음이 호수라는 지식을 전달하고 있지는 않다.추상적 존재인 마음과 구체적인 자연물인 호수가 같은 수 없기 때문이다.그러나 잔잔한 호수와 고요한 마음은 같은 느낌을 준다.이와 같이,독자는 서로 다른 두 단어를 연결시키는 ᄭᅪ정에서 두 단어의 본래의 뜻과는 거리가 있는 어떤 감정이 떠오르게 됨을 느낄 수 있다.일상 언어에서는 이치에 맞지 않는 단어들의 연결도 시에서는 감동을 주는 좋은 재료가 된다.

또,문학적 언어에서는 일상 언어와 달리 운율(韻律)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다음 시 한 구절을 예로 들어 보자.

말아,사람 편인 말아,

검정콩,푸렁콩을 주마.

우리말의 자음(子音)가운데‘ㄴ,ㄹ,ㅁ’과 받침으로 사용되는‘ㅇ’은 모두 성대를 울려서 소리가 나며,부드럽고 매끄럽게 발음된다.위 시구를 뜻만을 생갓하며 읽게 되면,말에게 검은 콩과 푸른 콩을 주겠다는 지극히 평범한 내용을 옮겨 놓은 구절에 지나지 않는다.그러나 발음에 유의하여‘검정콩,푸렁콩’을 읽는 동안,독자는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어떤 율동감이 솟아오르는 것을 느끼게 된다.미치 좋은 음악을 들으면 저절로 흥이 나는 것처럼,언어가 지닌 운율은 우리의 마음을 자극시켜 평범한 언어로써도 어떤 정서를 불러일으키게 함을 알 수 닜다.

시와는 달리,희곡이나 소설에서는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내는 과정보다는 화자나 서술자와 독자 사이의 의사 소통이 중요한 몫을 담당한다.희곡의 경우는 등장 인물들의 대화를 통해서 극의 줄거리와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이 때에 등장 인물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서용하는 언어와 거의 차이가 없다.소설의 경우에도 대화와 서술을 통해 이야기를 이끌어 나가는데,희곡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일상 언어가 사용된다.

그렇다면 일상 언어와 산문에서의 문학적 언어 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

잎을 비틀어 팽개친 후,소녀에게 한 개 건넨다.그리고는 이렇게 먹어야 한다는 듯이,먼저 대강이를 한 입 베물어 낸 다음,손톱으로 한 돌이 껍질을 벗겨 우적 깨문다.

소녀도 따라 했다.그리고 세 입도 못 먹고,

“아,맵고 지려.

하며 집어던지고 만다

“참,맛 없어 못 먹겠다.”

소년이 더 멀리 팽개쳐 버렸다.

위 구절은‘소나기’에서 주인공인 소년이 자신이 좋아하는 소녀를 위해 무를 뽑아 온 뒤,먹는 법을가르쳐 주는 장면이다.이 짧은 대화와 서술만을 통해서도 우리는 소녀가 농촌 생활에 익숙하지 못하다는 사실과 소년이 소녀를 무척 좋아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하나씩 떼어 놓고 보면 특별한 뜻을 가지지 않은 단어들의 집합(集合)에 지나지 않는 구절들도 앞뒤로 잘 연결되어,일상적으로 쓰일 때와는 다른 새로운 의미를 창조해 내는 데에 문학적 언어의 특성이 있다.

문학은 언어를 재료로 하는 예술이므로 문학적 언어는 당연히 일상 언어와 공통점을 가지며,특히 소설에서는 거의 구별이 되지 않는다.그럼에도 문학적 언어와 일상 언어 사이에는 분명히 차이가 있다.일상 언어를 보통 옥(玉)이라 한다면,문학적 언어는 그것을 갈고 닦은 옥이다.이처럼,문학적 언어는 본래 일상 언어이지만,작품에 알맞은 형태로 선택되고가다듬어져사용되기 때문에 일상 언어에 비해 훨씬 함축적이고 개성적이다.

1990년 교과서와1996년교과서에는‘가다듬어져’이지만,타래난은‘다듬어져’가 옳다고 본다.

 

 

 

'현대수필4'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이 신이었을까  (0) 2022.06.24
영상 매체 시대의 책  (0) 2022.06.24
민족의 진로  (0) 2022.06.24
소금별에 사는 우리  (0) 2022.06.24
현대 사회의 과제  (0) 2022.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