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이론[수필 작법, 글쓰기 , 기타 ] 비평 수필이론 등

독자에게 감동을 주는 수필인의 인품

by 자한형 2023. 10. 7.
728x90

독자에게 감동을 주는 수필인의 인품 / 김태길

왜 수필을 읽는가. 여러 가지 경우가 있을 것이나, 나는 '감동'을 받고 싶어서 수필집을 펼칠 때가 적지 않다. 감동적인 수필과 만났을 때 따분한 인생에도 한 줄기 광명이 있다는 것을 의식한다. "감동은 수필의 생명"이라고 말한다면 엉뚱한 소리가 될까. 감명은 어디에서 오는가. 글 자체의 아름다움에서 올 경우도 있을 것이나, 정말 가슴이 벅차도록 깊은 감동은 글 뒤에 숨은 작가의 인품에서 온다. 좋은 수필이 주는 감동의 근원은, 그 작가의 재치있는 글재주나 그의 해박한 지식 또는 그의 화려한 경력이 아니라, 영혼이 숨쉬는 그의 사람됨이다. 글을 통하여 감동을 주는 사람의 인품은 어떤 것일가. 여러 가지 경우가 있을 것이므로 일률적인 주장을 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감동을 느끼는 사람 측의 정신적 수준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여기서는 나에게 감동을 느끼게 하는 인품의 특색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으로써 대신하고자 한다.

'속이 깊은 사람의 글'이라는 인상이 강한 수필을 읽었을 때 나는 깊은 감동을 느낀다. '속이 깊은 사람'이란 삶의 문제를 깊이 생각하며 행동한다는 뜻과 처지를 바꾸어 놓고 다른 사람들을 깊이 배려한다는 뜻을 포함한다. 비록 생각은 많이 하더라도 그 생각에 걸맞는 실천이 없으면 '속이 깊은 사람'이라고 보기 어렵다.

'진솔하고 정직한 사람'이라는 인상이 강한 수필을 읽었을 때도 나는 깊은 감동을 느낀다. 음침하고 탐욕스러운 인품으로부터 좋은 수필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노릇이다. 수필을 '선비의 글'이라고 보는 일부의 의견에 공감을 느끼는 까닭이다. 물론 선비들만이 좋은 수필을 쓸 수 있다고 말한다면 큰 실언이 될 것이다. 오늘의 현실이 그렇듯이 여러 부류의 사람들이 수필가를 지망하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다. 다만 만사에 돈이 앞서게 마련인 현대의 실정을 고려할 때, 수필에 뜻을 둔 사람은 탐욕으로부터 자유롭도록 각별한 마음씀이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수필은 그 특성으로 볼 때 생업生業으로 삼기는 어렵다는 약점을 가졌다. 따라서 수필에 뜻을 둔 사람은 기본 생활에 필요한 돈을 수필 아닌 다른 곳에서 얻는 길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 나의 일관된 생각이다. 만약에 수필을 생계生計를 위한 돈벌이의 수단으로 삼는 경우가 생긴다면 108·9는 어떤 비리의 길로 빠질 염려가 있다.

필자가 지사志士로서의 인상이 강한 수필을 읽었을 때도 나는 깊은 감동을 느낀다. '강자의 횡포'라는 것은 어느 시대 어느 사회에서나 흔히 있는 사회 현상이어서, 오늘도 우리 주변에 불의不義가 약자들을 괴롭히는 현상이 도처에 나타난다. 그러나 현대는 일반이 몸조심하는 것을 지혜로운 처세술로 인정하는 분위기가 팽배하여, 불의를 보고도 묵과하는 경우가 흔히 있다. 그러나 이러한 풍토 속에서도 필화筆禍를 무릅쓰고 불의를 규탄하는 사회 수필과 만나는 경우가 더러 있다. 이런 경우에 나는 모처럼 지사志士와 마주한 듯 강한 감동을 느낀다.

나에게 가장 깊고 큰 감동을 주는 수필은 그 필자가 유머 감각이 풍부하고 따뜻한 인품이라는 인상을 줄 경우에 있어서다. 가시가 도사리고 있어서 타인에게 상처를 주는 익살과는 달라서, 유머는 자기 자신 또는 자신에게 가까운 사람을 웃음거리로 삼되, 그 웃음 속에 사랑이 깃들어 있는 따뜻한 웃음을 일컫는다. 바가지 긁기로 이름난 아내에게 시달리는 자신의 처지를 웃어넘기는 소크라테스의 여유로움이나, 약간 모자라는 아내의 실수로 인하여 낭패스러운 상황에 몰린 자신의 처지를 따뜻한 웃음 속에 묻어버린 퇴계退溪의 기지機智는 널리 알려진 유머의 표본이다. 여기저기 알게 모르게 유머가 섞여 있는 수필은 답답한 현실에 시달리는 독자들에게 그 현실을 웃음으로 극복할 수 있는 여유를 선사한다.

"어떤 수필이 좋은 수필이냐?"는 물음을 가끔 던져본다. 일률적으로 말하기 어려운 이 물음에 대답하는 하나의 시도로서 "깊은 감동을 주는 산문이 좋은 수필이다."라는 말을 생각해 보았다.

구성의 짜임새와 문장의 정묘함에서 감동을 느낄 경우도 흔히 있다. 그러나 겉으로 나타난 표현의 탁월함보다도 더욱 중요한 감동의 원천은 글 뒤에 숨은 그 필자의 인품이 아닐까 하는 가설을 따라서, 깊은 감동을 주는 인품의 특색이 무엇일까를 더듬어 보았다. 그러나 독자에 따라서 '감동을 주는 인품'의 특색에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기에, 여기서는 나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서 잠시 생각해 보았다. 무릇 '평가(評價)'라는 행위에는 항상 주관主觀이 관여하게 마련이 아닐까 한다.

바람직한 수필인에게 요구되는 덕목이 무엇이냐에 대한 견해는 사람에 따라서 다소관 차이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속물스러움'보다는 '풍류심(風流心)'이 바람직하고, 위선적이며 자기 과시를 좋아하는 사람보다는 진솔하고 겸허한 인품이 바람직하며, 탐욕스러운 사람보다는 공정한 사람이 바람직하다는 점에는 대다수가 찬동할 것으로 믿는다. 우리 나라 수필계에 생각이 깊고 진솔하며, 악화가 양화를 물리치는 서글픈 현실을 웃음으로 처리할 수 있는 마음 여유로운 필자들이 다수 나타나기를 고대하는 심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