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문학(인문과학, 사회과학, 철학, 역사, 기타)62

이 나라의 여자 팔자 이 나라의 여자 팔자-이태영 여자 팔자는 뒤웅박 팔자 우리 속담에 '여자 팔자는 뒤웅박 팔자'라는 말이 있습니다. 잘 아시겠듯이 흔히 마른 그릇으로 쓰이던 뒤웅박은 거기에 무엇이 담기느냐에 따라서 '팔자'가 달라졌기 때문에 그런 말이 나온 듯합니다. 말하자면 여자는 어떤 임자 곧 어떤 남편을 만나느냐에 따라 팔자가 정해진다는 뜻인 것입니다. 실제로 인류 역사를 상고하건대 여자의 팔자는 동ㆍ서양을 가릴 것 없이 처음부터 '뒤웅박 팔자'였습니다. 역사학도들은 흔히 여성의 역사를 자유 시대, 침체 시대, 해방 시대로 나누어 보는 듯합니다. 중세까지를 자유 시대로, 봉건 시대를 침체 시대로, 산업화 때부터를 해방 시대로 보는 것입니다. 그러나 여기에는 이론이 분분하다고 들었습니다. 다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사.. 2022. 6. 1.
영화 속의 시간과 공간 영화 속의 시간과 공간-A.하우저 영화에서의 시간과 공간 연극은 여러 가지 면에서 가장 영화와 닮은 장르이다. 특히 시간적 형식과 공간적 형식을 종합하고 있다는 점에서 영화와 비교할 수 있는 유일한 장르다. 그러나 무대 위에서 일어나는 사건은 일부는 공간적이고 일부는 시간적일 따름이다. 시간적인 것과 공간적인 것이 보통 같이 있는 것이지 영화에서처럼 시간적인 것과 공간적인 것이 결합된 4차원의 `시간.공간적'인 것이 아니다. 영화와 다른 예술 사이의 가장 근본적인 차이는 시간과 공간의 경계가 유동적이라는 점이다. 즉 영화에서는 공간이 시간 비슷한 성격을 띠고 시간은 또 어느 정도 공간적인 성격을 갖는 것이다. 조형 예술 또는 무대 위의 공간은 항상 정적이고 변하지 않으며 아무런 목표나 방향이 없다. 그것.. 2022. 6. 1.
돈 잘 쓰고 돈 모으는 길 돈 잘 쓰고 돈 모으는 길-전 철 환 누구나 부자가 되고 싶어한다 사람은 누구나 잘살려고 한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만이 아니라 정신적인 면에서 인간다운 삶을 누리고자 하는 욕구가 강한 것은 틀림이 없다. 그러나 정신 세계의 중요성을 강조했던 옛 성현도 '먹고 입기 넉넉해야 예의를 안다'고 했다시피 경제적인 욕구가 채워져야 정신적이고 정치 사회적인 다른 욕구가 생길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은 영원한 진리일 것이다. 그런 면에서 보면 사람의 기본 욕구는 아무래도 넉넉하게 먹고 사는 따위의 물질적인 부를 누리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그리하여 많은 사람들이 밤낮없이 일하면서 돈을 벌려고 발버둥이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것이 인생의 최고 가치는 아니지만 돈을 많이 벌어야 갖고 싶은 것도 많이 벌어야 갖고 싶은 것도.. 2022. 6. 1.
소외된 인간 소외된 인간-이 극 찬 머리말 현대의 인간은 대체 어떠한 상황 아래에서 어떻게 생활하고 있는 것일까. 그리고 현대의 인간 앞에 가로놓인 중대 문제는 대체 어떤 것일까. 이러한 물음에 대해서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19세기에는 '신이 죽었다'라는 것이 문제였지만, 20세기에는 '인간이 죽었다'라는 것이 문제다. 19세기에는 비인간적인 자기 소외를 의미한다. 지난날의 위험은 인간이 노예로 되어 버리는 데 있었지만, 앞날의 위험은 인간이 로봇으로 되어 버릴지도 모르는 데 있는 것이다.……. 오늘날 이 지구상에는 40억에 가까운 형형 색색의 인간들이 숨을 쉬며 살아가고 있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엄연히 숨을 쉬며 살아가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현대의 인간을 '죽었다'라고.. 2022. 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