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35 정비석 (1911~1991) 해방 이후 『자유부인』·『소설 손자병법』·『소설 초한지』 등을 저술한 소설가.친일반민족행위자.생애 및 활동사항1911년 평안북도 용천에서 출생했다. 1929년 6월 신의주중학교 재학 중 신의주고등보통학교생도사건으로 검거되어 치안유지법 위반과 불경죄로 징역 10월, 집행유예 5년을 선고받았다. 이후 일본 히로시마[廣島]로 건너가 중학교를 졸업한 후 도쿄 니혼대학(日本大學)에 입학, 1932년 중퇴하고 귀국했다. 니혼대학 시절 『프롤레타리아신문』에 단편소설 「조선의 어린이로부터」를 응모하여 당선되었다. 귀국 후 1935년 1월 『매일신보』에 콩트 「여자」를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이해 7월 『조선문단』에 시 「도회인에게」, 1936년 1월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졸곡제」가 가작.. 2021. 10. 11. 이효석 (1907~1942) 일제강점기 「메밀꽃 필 무렵」, 「들」, 「여수」 등을 저술한 소설가.개설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가산(可山). 강원도 평창(平昌) 출생.생애 및 활동사항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를 거쳐 1930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영문학과를 졸업하였다. 1925년 『매일신보』 신춘문예에 시 「봄」이 선외 가작(選外佳作)으로 뽑힌 일이 있으나 정식으로 문학 활동을 시작한 것은 「도시와 유령」(1928)부터이다.이 작품은 도시유랑민의 비참한 생활을 고발한 것으로, 그 뒤 이러한 계열의 작품들로 인하여 유진오(兪鎭午)와 더불어 카프(KAPF: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진영으로부터 동반자작가(同伴者作家)라는 호칭을 듣기도 하였다. 대학을 졸업한 뒤 1931년 이경원(李敬媛)과 혼인하였으나 취직을 못하여 경.. 2021. 10. 11. 이호철 (1932~2016) 해방 이후 「나상」·「판문점」·「닳아지는 살들」 등을 저술한 소설가.생애 및 활동사항함경남도 원산시 전산리에서 태어났다. 1948년 원산 공립중학교를 졸업하고 원산고등학교에 진학했다. 1950년 한국전쟁에 참전하여 포로로 잡히는 등 생사의 고통을 겪다가 그해 12월 원산에서 단신 월남하였다.그 뒤 부산과 서울에서 피난살이를 하며 창작에 몰두하다 단편 「탈향」(1955)과 「나상(裸像)」(1956)이 추천되어 문단에 등단하였다. 1961년 단편 「판문점」으로 제7회 현대문학상을 수상하였고, 1962년 단편 「닳아지는 살들」로 동인문학상을 수상하면서 분단문학 작가로서의 기반을 다졌고, 이후 분단 문제를 다룬 작품을 지속적으로 발표하였다. 이 같은 작품 세계로 말미암아 분단문학을 대표하는.. 2021. 10. 11. 이은상 (1903~1982) 해방 이후 『노산시조선집』·『푸른 하늘의 뜻은』 등을 저술한 작가.시조작가·사학자.개설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노산(鷺山), 필명은 남천(南川)·강산유인(江山遊人)·두우성(斗牛星). 경상남도 마산 출신. 이승규(李承奎)의 둘째 아들이다.생애 및 활동사항1918년 아버지가 설립한 마산 창신학교(昌信學校) 고등과를 졸업하고, 1923년 연희전문학교 문과에서 수업하다가 1925∼1927년에 일본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 사학부에서 청강하였다.1931년·1932년 이화여자전문학교 교수를 비롯하여, 동아일보사 기자, 『신가정(新家庭)』 편집인, 조선일보사 출판국 주간 등을 역임하였다. 1942년 조선어학회사건에 연루되어 홍원 경찰서와 함흥 형무소에 구금되었다가 이듬해 기소유예로 석방되었다.1.. 2021. 10. 11. 이전 1 ···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