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시

광화문, 겨울, 불꽃, 나무

by 자한형 2021. 12. 8.
728x90

광화문, 겨울, 불꽃, 나무 -이문재-

 

 

해가 졌는데도 어두워지지 않는다.

 

겨울 저물녘 광화문 네거리

 

맨몸으로 돌아가 있는 가로수들이

 

일제히 불을 켠다 나뭇가지에

 

수만 개 꼬마전구들이 들러붙어 있다.

 

불현듯 불꽃나무! 하며 손뼉을 칠 뻔했다.

 

 

 

어둠도 이젠 병균 같은 것일까.

 

밤을 끄고 휘황하게 낮을 켜 놓은 권력들

 

내륙 한가운데에 서 있는

 

해군 장군의 동상도 잠들지 못하고

 

문닫은 세종문화회관도 두 눈 뜨고 있다.

 

 

 

엽록소를 버린 겨울나무들

 

한밤중에 이상한 광합성을 하고 있다.

 

광화문은 광화문(光化門)

 

뿌리가 내려가 있던 겨울나무들이

 

저녁마다 황급히 올라오고

 

겨울이 교란 당하고 있는 것이다.

 

밤에도 잠들지 못하는 나무들

 

 

 

 

 

 

 

 

 

광화문 겨울나무 불꽃나무들

 

 

 

-시집<제국호텔>(2004)-

 

 

 

 

해 설

 

 

[개관정리]

 

성격 : 문명비판적

 

특성

 

현대 사회의 문제점에 대한 시인의 비판적 의식이 드러남.

 

도치, 의인, 비유 등의 다양한 수사법을 사용함.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해가 졌는데도 어두워지지 않는다.

 

자연의 이치에 맞지 않는 비정상적인 현실 상황

 

* 맨몸으로 돌아가 있는 가로수들 겨울나무들

 

* 일제히 불을 켠다 나뭇가지에 도치법

 

* 수만 개 꼬마전구들 화려함만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의 이기심을 상징함.

 

* 불꽃나무 인간이 도시의 화려한 밤 풍경을 즐기기 위해 자연의 생태를 고려하지 않고 인위적으로 만들어 놓은 아름다움. 인간의 이기심에 의해 희생되고 있는 겨울나무의 모습을 불꽃나무로 표현하면서 문제를 제기함.

 

* 손뼉을 칠 뻔했다. 인위적인 아름다움에 현혹될 뻔했다는 뜻임.

 

* 어둠 나무들이 안식을 취할 수 있는 시간

 

* 밤을 끄고 휘황하게 낮을 켜 놓은 권력들

 

겨울밤의 화려한 경관을 즐기기 위해 겨울나무들을 희생시키는 현대인

 

* 해군 장군의 동상, 세종문화회관, 엽록소를 버린 겨울나무들 휘황한 불빛에 의해 쉬지 못하는 존재들

 

* 한밤중에 이상한 광합성을 하고 있다. 자연의 이치에 맞지 않음. 자연의 생태가 파괴되었음.

 

* 광화문은 광화문 광화문이 어둠을 상실한 존재가 되었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함.

 

* 겨울이 교란당하고 있다. 인간의 이기적인 목적으로 자연의 생태가 파괴되고 있음.

 

* 겨울 휴식의 시간

 

 

 

주제

 

화려함만 추구하는 현대 사회의 세태와 자연의 순리를 거스르는 인간의 이기적인 태도 비판

 

 

[시상의흐름(짜임)]

 

1: 한겨울밤 불을 밝힌 광화문 나무들

 

2: 광화문의 밤 풍경

 

3: 자연의 이치를 거스르는 도시의 모습

 

 

[이해와감상의 길잡이]

 

우리 사회가 거쳐 온 1970년 혹은 1980년대와 2000년대의 세상을 구분할 수 있는 가장 명확한 기준은 무엇일까. 다양한 기준이 존재할 수 있겠지만 '주된 경제적인 수단이 되는 산업이 무엇인가'하는 물음도 그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앞의 시대를 산업화시대 그리고 뒤의 시대를 정보화시대라 구분한다.

 

잠시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시대를 들여다보자. 이미 정보화 시대의 세계는 각종 정보 네트워크로 복잡하게 얽혀져 있다. 과거에는 만화책을 통해 아이들에게 꿈을 안겨 주었던 그 상상의 이야기들이 우리에게는 이미 현실의 일상이 된 지 오래다.

 

정점 혹은 종점은 없는 듯 달리기만 하고 있는 '정보화 시대'라는 열차에 대해 우리는 반성해 본 적이 있었는가? 정보화 시대가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산업화 시대의 반성'에서 출발했다는 점에서 우리가 살아가는 이 시대에 대한 반성 또한 필요할 때가 아닌가 한다.

 

시인 이문재의 네 번째 시집 <제국호텔>은 그러한 반성에서 출발한다. '제국호텔'이라는 시집 제목, 그리고 부제만 달리한 같은 제목의 <제국호텔>이라는 다섯 편의 시를 통해 시인은 이 시대를 성토한다. 시인이 바라본 세상 속의 우리들은 인터넷의 세상 '@'에 갇혀 있고 또 다른 무언가에 갇혀 있다. 시인의 언어는 부드러운 폭력으로서의 제국, 네트워크로서의 제국이라는 이 '멋진 신세계'의 참혹함에 대한 통렬한 시적 고발이다. 시인이 거기에서 달아나기 위해, 혹은 거기에 맞서 되살려내는 자연과 육체성에 대한 촉감과 기억은 애절하고, 결연하고, 경건하기까지 하다.

 

새 시집의 화두는 '제국'이다. 이제 와서 제국이라니, 식민지라니? 그러나 시인은 단호하게, 지금-여기를 제국의 변방, 또는 제국의 식민지라고 부른다. 시집의 발문을 쓴 고종석의 표현대로, 이 제국은 '촘촘하지만 부드러운 네트워크의 폭력'을 통해 관리되는 사회다. 스타벅스와 맥도널드와 온갖 스팸 메일이 가득하고 천지 사방에서 전자파가 난반사하는, 장벽이 무너져 모든 것이 장벽인, 오래된 책 표지들이 멈춰 서 있고 분수대에서 누런 피가 솟구치다가 굳어 있는, 더 이상 빌려 올 미래가 없는, 참혹하고 을씨년스러운 풍경이다.

 

 

 

'현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고의 나라  (0) 2021.12.08
광야  (0) 2021.12.08
고향 정지용  (0) 2021.12.08
봄이 오면 나는 이해인  (0) 2021.09.06
별을 헤는 밤 윤동주  (0) 2021.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