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시

광야

by 자한형 2021. 12. 8.
728x90

광야

이육사 -

 

까마득한 날에

하늘이 처음 열리고

어데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

 

모든 산맥(山脈)들이

바다를 연모(戀慕)해휘달릴 때도

차마 이곳을 범()하던 못 하였으리라.

 

끊임없는 광음(光陰)

부지런한 계절이피어선 지고

큰 강물이 비로서 길을 열었다.

 

지금 눈 나리고

매화향기(梅花香氣) 홀로 아득하니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다시 천고(千古)의 뒤에

백마(白馬) 타고 오는 초인(超人)이 있어

이 광야(曠野)에서 목놓아부르게 하리라

-<육사시집>(1946)-

 

 

 

 

해 설

 

 

[개관정리]

 

성격 : 남성적, 의지적, 상징적, 저항적, 미래지향적, 지사적, 선구자적

 

표현 : 선택이나 결단을 나타내는 부사어(어데, 차마, 비로소)의 적절한 사용

 

시간의추이에 따른 추보식 구성(과거-현재-미래)

 

기승전결의 한시적구성 방식

 

언어의상징적 기능 중시

 

 

 

중요 시구

 

* 닭우는 소리 인간의 생활, 시간의 시작

 

* 어데 ~ 들렸으랴 설의법

 

* 부지런한계절이 피어선 지고 시간의 개념인 '계절'''이라는 시각적 이미지로형상화(활유법)

 

* 강물 역사 · 문명의 상징

 

* 힘겹고 혹독한 현실 상황

 

* 매화향기 어려움에도 굴하지 않는 강인한 의지와 고고한 정신, 민족의 정기, 조국광복의 기운

 

* 노래의씨 미래에 대한 준비이자 자기 희생(속죄양 의식)

 

* 초인 조국의 광복을 실현하고 조국의 역사를 찬란히 꽃피울 존재

 

광야의 미래를 이끌어 갈 우리 민족 후손의 지도자

 

 

 

주제 : 가혹한 상황에서 펼치는 밝은 미래에 대한 비장하고도 의연한 결의

 

새역사 창조의 의지

 

 

[시상의 전개(짜임)]

 

1: 광야의 개벽(원시성, 유구성) - 과거()

 

2: 광야의 형성(광활함, 신성성) - 과거()

 

3: 인류 문명(역사)의 태동 - 과거()

 

4: 가혹한 현실상황과 극복의지 - 현재()

 

5: 미래 지향의 역사의식 - 미래()

 

 

 

 

[이해와감상의 길잡이]

 

이 작품은 배경의 웅대함으로처음부터 독자를 압도한다. 광막한 공간과 아득한 시간을 배경으로강인한 지사적 의지를 노래한 작품으로, 웅장한 상상력과 남성적 어조그리고 의연한 기품이 잘 나타나 있다.

 

1연에서 3연까지의 내용은 광야의 원시적 순수성에서부터 무수한 세월이 흘러강물이 길을 열기까지의 과정이 그려지고 있다. 3연까지가 이 시에서차지하는 의미는 자기 존재의 역사적, 사회적 규정성을 인식함으로써, 스스로를 반성적으로 성찰하고 나아가 실천적 행위로써 연속될 윤리적결단을 예비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겠다. 4연에서는 현재적 상황이그려지고 있다. 아무도 없는 광야, 더욱이 눈 덮인 겨울의 광야에 서서무한한 과거의 시간과 먼 미래의 시간을 내다보고 있다. 그러나 이 상황은고독한 것이면서 강인한 의지를 더욱 곧게 세우도록 촉구하는 것이기도하다. 그러한 고독감과 긴장된 의지의 경지가 '매화향기'라는 사물을통해 암시된다. 여기에는 매화를 추위 속에 피어나는 매서운 기개의상징으로 여긴 전통적 연상이 관계되어 있다. 그러면서 '노래의 씨'를뿌린다. 일체의 생명이 용납되지 않는 냉혹한 시련의 상황에서 생명의씨앗을 뿌린다는 다소 무모하기 짝이 없어 보이기도 하지만, 그만큼확고한 신념이 바탕이 되어 있다고 보이며 비장감이 느껴지게 한다. 이렇게 뿌린 노래의 씨를 거둘 사람이 바로 5연에 나오는 '초인'이 아니겠는가?'초인'은 단순히 '조국광복'의 의미로 해석되기보다는 조국의 밝고 무한한미래를 짊어지고 갈 투사들, 지사들의 모습이 아닐까?

 

 

 

육사 시의 저항성

 

이육사는 일제 강점기의 현실을 극복하려 했던 대표적인 저항 시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저항시로서 그의 시는 무엇보다도 투철한 현실 인식과 강한 신념에서 비롯된다. , 시간적으로는 아득한 천고와 미래의 사이, 공간적으로는 만물이 눈에 덮인 광야에 홀로 서 있는 극한 상황에서, 그를 구제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장엄한 미래에 대한 기대뿐이다. 이러한 극명한 현실 인식과 조국 역사의 미래에 대한 신념이 있었기에 자기 희생이 가능하였고, 저항적 · 지사적 결의가 가능하였던 것이다. '광야'에 드러난 강렬하고도 남성적인 시어들은 바로 이러한 주제 의식을 형상화하기 위한 시인의 의도를 담고 있다.

 

 

 

육사 시의 문학사적 의의

 

육사 시가 갖는 우리 문학사, 특히 시사적 의미는 다음 몇 가지로 지적할 수 있다. 첫째, 1930년대 전반을 풍미하던 모더니즘의 비인간화 경향에 대한 비판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둘째, 고전적인 선비의식과 한시의 영향으로 전통적 요소를 지니고 있다. 셋째, 한국시에 남성적이고 대륙적인 입김을 불어넣었다. 넷째, 죽음을 초월한 저항 정신과 시를 통한 진정한 현실 참여를 보여 주었다. 특히 넷째 측면은 윤동주의 시작과 함께 일제 말 우리 민족 문학의 공백기를 메워주는 중요한 성과라고 할 것이다.

 

 

 

 

'현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목  (0) 2021.12.08
광고의 나라  (0) 2021.12.08
광화문, 겨울, 불꽃, 나무  (0) 2021.12.08
고향 정지용  (0) 2021.12.08
봄이 오면 나는 이해인  (0) 2021.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