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이 빛나는 밤 The starry night / 빈센트 반 고흐/차일피일
빈센트 반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 (The Starry Night, 1889)
빈센트 반 고흐
빈센트 반 고흐1(Vincent van Gogh, 1853-90)는 네덜란드의 후기 인상주의 화가이다.
그의 걸작 "별이 빛나는 밤" (The starry night)은 자신의 귀를 자른 사건 이후 자발적으로 정신병원에 입원한 뒤에 그렸다. 1889년 생레미(Saint-Rémy)의 요양원에서 그린 그림이다.
이 그림은 가로 92센티미터, 세로 73센티미터의 크기이다.
미국의 뉴욕 현대미술관(Museum of Modern Art / MoMA)에 소장되어 있다. (사진 1)
(사진 1) 뉴욕 현대 미술관 (MoMA)
반 고흐의 화가로서의 삶은 평범하지 않다. 생전에 거의 그림을 팔지 못했고 가난했다. 동생 테오의 경제적 지원이 없었더라면, 생계를 유지하고, 그림을 그리는 것도 어려운 형편이었다.
병원에 입원할 정도로 정신적으로 불안정했고, 결국 총으로 자살했다.
하지만 그의 사후 반 고흐는 서양 미술사에서 가장 중요하고 가장 유명한 화가의 하나가 되었다. 세잔, 고갱과 함께 현대 미술의 초석을 놓은 것으로 평가된다.
37세로 죽기 전 그가 그림을 그린 기간은 10년에 불과하다. 그 짧은 기간에 900점의 유화를 포함하여, 2,000점이 넘는 작품을 남겼다.
주요한 그의 많은 작품은 그가 죽기 전 2년 동안에 그려졌다. 다른 화가들과 달리 무척 빨리 그림을 그리고, 짧은 기간에 많이 그렸다.
1년간 정신 요양원에 있는 동안에도 150점의 그림을 남겼다. 이틀에 거의 한 점을 그린 셈이다.
목사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어린 시절 조용하고 심각한 편이었다. 어릴 때 그림에 소질을 보였으나, 전문적 미술 교육을 받은 적은 없다.
미술품을 거래하는 화랑 직원으로 일했고, 런던 지사에 파견되어 근무도 하였다. 그 후 목사가 되려고 노력하였고, 벨기에에서 선교사로 일하기도 하였다.
무절제한 생활에 건강이 줄곧 나빴고, 항상 외로웠던 그는 1881년 28세에 본격적으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생계 수단이 없는 그를 동생 테오가 경제적으로 지원했다. 테오의 헌신적인 도움은 두 형제간에 주고받은 700통의 편지에 잘 드러나 있다.
이 편지들은 반 고흐의 예술가로서의 삶을 조명할 뿐 아니라, 그의 그림에 대한 열정과 생각을 잘 보여준다.
그가 발자크, 에밀 졸라, 볼테르, 플로베르 등의 프랑스 작가뿐만 아니라, 찰스 디킨스, 조지 엘리엇, 샬럿 브론테, 존 키츠 등 영국 작가들도 두루 읽었음을 보여준다.
이 편지들은 그가 죽은 후 출간되어, 예술가로서의 그의 삶을 널리 알려, 세계적인 명성을 얻는 데, 기여했다.
반 고흐의 그림과 예술가로서의 삶
그의 초기 작품들은 정물화와 농촌 노동자를 주로 그렸다. 여기에는 그의 후반부 그림에 뚜렷이 나타나고, 그의 명성을 높인, '강렬한 색깔' 이 보이지 않는다.
1886년부터 파리에 2년간 머물면서 만난 인상파 화가들은 그의 그림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인상파의 매너리즘에 반발하려는 에밀 베르나르와 고갱은 그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그 이후 그린 정물화와 풍경화는 현저히 달라졌으며, 1888년 남부 프랑스 아를(Arles)에 체재하면서 그만의 독특한 화풍을 만들어 나갔다.
이 무렵을 전후하여 올리브 나무, 밀밭, 해바라기, 사이프러스 나무, 별이 있는 밤 풍경, 초상화 등이 그의 정신세계를 반영하듯이 그림에 자주 그려졌다.
강렬한 밝은 색의 대비, 역동적이고 거침없는 화필, 때로는 추상적이면서 충격을 줄 만큼 깊은 인상을 남기는 그의 그림은, 20세기 초기 야수파(Fauvism)와 독일 표현주의(Expressionism)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생전에 '낙오자', '미친 화가' 로 취급받았다. 하지만 현재는 '괴로운 예술가의 삶' 을 산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던 천재' 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네덜란드 정부는 1973년 암스테르담에 "반 고흐 박물관" (Van Gogh Museum)을 설립하여 화가로서의 그의 삶을 기리고 있다. 2015년에는 190만 명이 박물관을 방문했으며, 연간 평균으로는 150만 명이다. 그중 85퍼센트가 외국에서 찾은 방문객이다.
생전에 거의 팔린 적이 없는 그의 작품은 이제 세계에서 가장 비싼 그림들이 되었다.
생전에 거의 유일하게 팔렸던 "붉은 포도밭" (The red vinyard, 1888)은 당시 400프랑(현 시가 200만원 정도)에 팔렸다. (그림 1)
(그림 1) "붉은 포도밭" (The red vinyard, 1988)
하지만 지금은 다르다. 1987년 런던 크리스티 경매에서 반 고흐의 그림 "화병 속의 15송이 해바라기" (Vase with fifteen sunflowers, 1889)는 2,475만파운드(현 시가 900억원 이상)에 팔렸다. (그림 2)
당시 가격은 이전에 기록한 미술품 최고 판매 가격의 3배를 넘었다. 세계적 명화 가격의 전반적인 상승을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1800년 이전의 거장 화가가 아닌 '현대' 화가의 작품으로는 처음으로 세계에서 가장 비싼 경매 기록을 가진 그림이 되었다.
(그림 2) "화병 속의 15송이 해바라기"(Vase with fifteen sunflowers, 1889)
1990년에는 반 고흐의 "가셰 박사의 초상화" (Portrait of Dr. Gachet, 1890)가 뉴욕 크리스티 경매에서 8,250만달러(현 시가 2,000억원 이상)에 팔렸다. 이것 또한 당시 미술품 경매가 기록을 경신하였다. (그림 3)
(그림 3) "가셰 박사의 초상화" (Portrait of Dr. Gachet, 1890)
그 이외에도 7점의 반 고흐 그림이 세계 90대 비싼 경매 가격에 포함되어 있다. 매매 가격은 현 시가로 각각의 그림이 최소 900억원이 넘는 것으로 평가된다.
반 고흐와 고갱
반 고흐가 남다른 예술가였다면, 프랑스 화가 폴 고갱(Paul Gauguin, 1848-1903)의 삶도 그에 못지않다. 화가로서의 삶에 있어 둘은 유사한 점도 많다.
고갱은 프랑스 후기 인상파 화가이다. 반 고흐와 마찬가지로 생전에 높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인상파의 고식적 그림을 탈피하여, 강렬한 색채의 실험적 화법으로 "종합주의" (Synthetism)를 선도하였다.
프랑스 아방가르드 화가들뿐만 아니라, 파블로 피카소, 앙리 마티스와 같은 현대 화가들에게 깊은 영향을 미쳤다.
고갱도 반 고흐처럼 전문적으로 화가 수업을 받지 않았다. 23살에 파리에서 주식 중개인이 되어 11년간 성공적인 사업가였고 미술품 중개상으로도 돈을 상당히 벌었다.
하지만 34살 때인 1882년 파리 증권시장의 폭락으로 큰 손실을 입은 고갱은 뒤늦게 전업 화가가 되기로 결심한다. 인생의 후반부에는 타히티에서 그림을 그렸다.
고갱의 삶은 영국 작가 서머싯 몸(Somerset Maugham)의 소설 "달과 6펜스" (The moon and sixpence)에 각색되어 잘 알려져 있다.
반 고흐는 고갱을 파리에서 만났다. 그는 고갱의 그림을 높이 평가했고, 미술 중개상을 하는 동생 테오는 자기 회사를 통해 고갱의 그림 3점을 사면서 친분을 쌓았다.
반 고흐는 뜻이 맞는 화가들이 함께 일하고 협력하는 화가 공동체를 설립할 것을 구상하고 있었다. 거기에 포함될 핵심 인사로서 고갱을 선호하였다.
1888년 2월 파리를 떠나 아를에 갔을 때, 반 고흐는 고갱에게 아를을 방문토록 초청하였다. 동생 테오의 주선으로, 고갱은 10월 아를에 도착하였고, 9주간을 반 고흐와 그림을 그리며 함께 지냈다.
고갱은 이때 "해바라기의 화가: 빈센트 반 고흐의 초상화" (The painter of sunflowers: Portrait of Vincent van Gogh, 1888)를 그렸다. (그림 4)
(그림 4) 고갱의 "해바라기의 화가: 빈센트 반 고흐의 초상화" (The painter of sunflowers: Portrait of Vincent van Gogh, 1888)
하지만 두 사람의 아를 생활은 비극적인 사건으로 끝난다. 그해 12월 23일 두 사람은 다투었고, 고갱의 나중 설명에 의하면, 반 고흐가 면도칼로 그를 위협하였다고 했다.
그날 밤 반 고흐는 자기 귀를 잘라 신문지에 싸서 그가 알던 창녀에게 보냈다. 다음날 반 고흐는 병원에 입원하였고, 고갱은 아를을 떠났다. 둘은 그 이후로 다시 만난 적이 없다.
반 고흐는 그 사건 후 한 달 뒤에 귀를 붕대로 감은 자화상을 그렸다. (그림 5) 귀가 어느 정도 잘렸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그림 5) "파이프를 물고 귀에 붕대를 한 자화상" (Self-portrait with bandaged ear and pipe, 1889)
별이 빛나는 밤
반 고흐는 고갱과의 사건이 있은 후, 자신의 불안한 정신 상태를 우려하여, 자발적으로 아를에서 가까운 생레미에 있는 정신요양원에 입원하였다.
요양원에서는 동생 테오의 요청으로, 반 고흐를 위해 2층에 방을 주고 1층에서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작업실을 마련하였다.
그림 "별이 빛나는 밤" 은 1889년 정신 요양원에 들어간 후 한 달쯤 후인 1889년 6월에 그려졌다.
요양원의 2층 그의 방에서 동쪽을 향한 창문으로 보이는 광경을 그렸다. 해 뜨기 직전의 밤하늘 광경이다. 하지만 그림 속의 마을은 실제로 있는 마을이 아니며, 상상으로 그려 넣었다.
이 그림은 반 고흐의 가장 유명한 대표작이며, 연간 수십만 명이 이 그림을 보러 뉴욕 현대 미술관을 방문하고 있다.
반 고흐는 이 그림을 그린 후, 큰 애착을 보이지 않았다. 그는 자연에서 유리된 관념적인 추상성을 좋아하지 않았으며, 그림의 '소용돌이치는 밤하늘' 이 너무 추상적이라고 느꼈는지 모른다.
그는 동생 테오에게 보내는 작품 목록에 이 그림을 단지 '밤의 습작' (night study)이라고 명명했고, 에밀 베르나르에게 보내는 편지에는 '실패작' (failure)이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반 고흐는 밤하늘의 별을 그리겠다는 생각은 일찍부터 하고 있었다. 1888년 9월 동생 테오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럼에도 난 - 굳이 말하자면 - 신앙을 절실히 필요로 하네. 그럴 때는 밤에 별을 그리러 밖으로 나가네.'
라고 썼다.
반 고흐는 밤하늘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3점의 그림을 그렸다. 그 무렵에 그린 "론 강의 별이 빛나는 밤" (Starry night over the Rhône, 1888)이 그 중의 하나이다. (그림 6)
(그림 6) "론 강의 별이 빛나는 밤" (Starry night over the Rhône, 1888)
위의 그림은 1888년 9월 말에 그려졌고, 아래 그림 "밤의 카페 테라스" (Café Terrace at Night, 1988)는 그보다 조금 빠른 9월 초에 그려졌다. (그림 7)
(그림 7) "밤의 카페 테라스" (Café Terrace at Night, 1888)
위의 그림보다 9개월 뒤에 그려진 "별이 빛나는 밤" 의 밤하늘은 앞의 두 그림보다 훨씬 거칠고, 역동적이다.
"별이 빛나는 밤" (The Starry Night, 1889)
이 그림에 대한 해석은 지난 100년 동안 수없이 많이 나왔다. 요양원 창문을 통해 보이는 밤하늘의 별들에 대한 해석을 비롯하여, 상징적, 심리적, 종교적, 천문학적, 미학적 해석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우선 밤하늘과 별이 그림 전체를 압도하고 있다. 반면, 마을은 오른쪽 한구석에 치우쳐 있다. 인간이 모여 살고 있는 마을과 절연되어 사는, 반 고흐의 고독한 심경이 느껴진다.
그림에서 밤하늘은 검푸른 색이다. 강렬한 주황색 둥근 형체는 달이고, 노랗고 하얗게 타고 있는 조금 작은 원형은 별들이다.
검은 사이프러스 나무와 별들은 모두 밤하늘 한가운데를 향하여 소용돌이치며 빨려 들어가는 듯하다. 자연의 모든 것이 끝없는 영원을 향하여 나아감을 상징한다.
하늘까지 닿는 사이프러스 나무는 한편 죽음을 상징한다.
사이프러스는 수직적으로 하늘로 뻗치는 것과 상록적인 특성으로 영혼이 천국으로 올라가는 것을 상징하며, 영생과 아울러 죽음을 상징한다. 서양에서는 대개 묘지 주위에 사이프러스를 심는다.
반 고흐는 1988년 9월 동생 테오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우리는 별에 가기 위해 죽음을 타고 가야 한다'
(We take death to a star)
라고 언급하였다. 이 그림을 그리고 다음 해 자살한 것과 관련, 밤하늘의 별, 사이프러스 나무, 교회, 올리브 나무 등을 종교적 관점에서 죽음과 연관시켜 해석하기도 한다.
그림의 별을 세면 11개이다. 달까지 더하면 12개가 된다.
성경에 나오는 요셉과 그의 11명의 형의 이야기를 원용하고 있다.
창세기 37장 9절에,
"요셉이 다시 꿈을 꾸고 그의 형들에게 말하여 이르되 내가 또 꿈을 꾼즉 해와 달과 열한 별이 내게 절하더이다" 라고 하였다.
요셉을 구박하던 형제들의 숫자가 11명이다. 반 고흐는 정신 요양원에 갇혀 있는 심정을 11명의 형제들에게 고통받던 요셉의 수난에 비유하였다.
통상적으로 달은 조용하고, 수동적이고, 여성적인 이미지이나, 그림에서는 검푸른 하늘에 대비하여 밝은 주황색으로 부풀어 오르고 있다. 별들을 밀어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늘은 그림 전면에 걸쳐 격렬하게 요동치는 것처럼 소용돌이치고 있다. 반 고흐의 불안정한 정신세계와 광기를 은연중에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림 속의 교회 첨탑은 반 고흐의 어릴 적 북유럽의 교회 모습이다. 집들의 불은 켜져 있으나 교회는 불이 꺼져 있다.
그의 아버지가 목사로 있는 교회의 제도권 신앙으로부터 반 고흐는 거리를 두고 있었다. 하지만 정신적으로 온전치 못한 이 무렵에는 어떤 형태로든지 신앙과 구원을 찾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난 - 굳이 말하자면 - 신앙을 절실히 필요로 하네. 그럴 때는 밤에 별을 그리러 밖으로 나가네.'
라고 말하는 반 고흐의 절실한 심정이 그림에 상징적으로 들어 있다고 볼 수 있다.
1 '빈센트 반 고흐' (Vincent van Gogh)의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전치사 'van' 과 지명 'Gogh' 를 붙여서 '반고흐' 로 쓰는 것이 맞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빈센트 반 고흐로 띄어 쓰는 표기가 오래전부터 굳어져, 띄어 쓰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 여기서도 이를 따른다.
※ 반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 을 미국 가수 돈 맥클린(Don McLean)이 "빈센트" (Vincent, 1972)라는 제목으로 노래하였다. (아래 동영상)
Vincent
Starry, starry night
별이 빛나는 밤에
Paint your palette blue and gray
팔레트를 푸른색과 회색으로 칠해요
Look out on a summer's day
여름날 바깥을 보세요
With eyes that know the darkness in my soul
내 영혼의 어둠을 아는 눈으로
Shadows on the hills
언덕 위의 그림자들인
Sketch the trees and the daffodils
나무와 수선화를 스케치하고
Catch the breeze and the winter chills
바람과 겨울 추위를
In colors on the snowy linen land
눈 덮인 부드러운 대지 위에 색깔로 표현해요
Now I understand
난 이제 이해해요
What you tried to say to me
당신이 나에게 말하려고 했던 것을
How you suffered for your sanity
당신이 광기로 얼마나 고통을 겪었고
How you tried to set them free
얼마나 그들을 자유롭게 하려고 노력했는지를
They would not listen, they did not know how
그들은 들으려고 하지 않았고, 듣는 방법도 몰랐어요
Perhaps they'll listen now
아마 그들은 이제 들을 거예요
Starry, starry night
별이 빛나는 밤에
Flaming flowers that brightly blaze
밝게 불타오르는 불길 같은 꽃들과
Swirling clouds in violet haze
보랏빛 안갯속에 소용돌이치는 구름이
Reflect in Vincent's eyes of china-blue
빈센트의 푸른 눈에 비치네
Colors changing hue
변화하는 색깔과
Morning fields of amber grain
호박색 알곡의 아침 들판과
Weathered faces lined in pain
아픔을 담은 주름 낀 얼굴들이
Are soothed beneath the artist's loving hand
예술가의 사랑하는 손길 아래 위안을 받네
Now I understand
난 이제 이해해요
What you tried to say to me
당신이 나에게 말하려고 했던 것을
How you suffered for your sanity
당신이 광기로 얼마나 고통을 겪었고
How you tried to set them free
얼마나 그들을 자유롭게 하려고 노력했는지를
They would not listen, they did not know how
그들은 들으려고 하지 않았고, 듣는 방법도 몰랐어요
Perhaps they'll listen now
아마 그들은 이제 들을 거예요
For they could not love you
그들은 당신을 사랑할 수 없어요
But still your love was true
하지만 당신의 사랑은 여전히 변함없어요
And when no hope was left in sight
아무런 희망이 보이지 않을 때
On that starry, starry night
저 별이 빛나는 밤에
You took your life, as lovers often do
당신은 목숨을 끊었네요, 연인들이 종종 그러듯이
But I could've told you, Vincent
하지만 난 당신에게 말할 수 있었는데, 빈센트
This world was never meant for
이 세상은 결코 당신처럼
One as beautiful as you
아름다운 사람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Starry, starry night
별이 빛나는 밤에
Portraits hung in empty halls
텅 빈 연회장에 걸린 초상화처럼
Frameless heads on nameless walls
이름 없는 벽에 걸린 액자 없는 머리처럼
With eyes that watch this world and can't forget
이 세상을 바라보고 잊을 수 없는 눈으로
Like the strangers that you've met
당신이 만난 낯선 사람들처럼
The ragged men in ragged clothes
거친 옷을 입은 거친 사람들과
A silver thorn of bloody rose
핏빛 같은 장미의 은빛 가시가
Lie crushed and broken on the virgin snow
첫눈 위에 부러지고 짓밟힌 채 놓여 있네
Now I think I know
난 이제 알 것 같네
What you tried to say to me
당신이 나에게 말하려고 했던 것을
How you suffered for your sanity
당신이 광기로 얼마나 고통을 겪었고
How you tried to set them free
얼마나 그들을 자유롭게 하려고 노력했는지를
They would not listen, they're not listening still
그들은 들으려고 하지 않았고, 아직도 듣지 않고 있네요
Perhaps they never will
아마 그들은 결코 듣지 않을 거예요
(번역 / 필자)
'회화, 미술사, 서양화가, 작품 등 한국화가 한국화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스 (7) | 2024.11.28 |
---|---|
비너스의 탄생 (3) | 2024.11.27 |
모나리자 (2) | 2024.11.27 |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 (3) | 2024.11.26 |
에콘 실레 (0) | 2024.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