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시

가즈랑집

by 자한형 2021. 12. 9.
728x90

가즈랑집 -백 석-

 

 

승냥이가 새끼를 치는 전에는 쇠메 든 도적이 났다는 가즈랑 고개

가즈랑집은 고개 밑의

산 너머 마을서 도야지를 잃는 밤 짐승을 쫓는 깽제미 소리가 무서웁게 들려오는 집

닭 개 짐승을 못 놓는

멧도야지와 이웃 사촌을 지나는 집

 

예순이 넘은 아들 없는 가즈랑집 할머니는 중같이 정해서 할머니가 마을을 가면 긴 담뱃대에 독하다는 막써레기를 몇 대라도 붙이라고 하며

 

간밤에 섬돌 아래 승냥이가 왔었다는 이야기

어느 메 산골에선간 곰이 아이를 본다는 이야기

 

나는 돌나물김치에 백설기를 먹으며

옛말의 구신집에 있는 듯이

가즈랑집 할머니

내가 날 때 죽은 누이도 날 때

 

무명필에 이름을 써서 백지 달아서 구신간시렁의 당즈깨에 넣어 대감님께 수영을 들였다는 가즈랑집 할머니

 

언제나 병을 앓을 때면

신장님 단련이라고 하는 가즈랑집 할머니

구신의 딸이라고 생각하면 슬퍼졌다

 

토끼도 살이 오른다는 때 아르대즘퍼리에서 제비꼬리 마타리 쇠조지 가지취 고비 고사리 구릅순 회순 산나물을 하는 가즈랑집 할머니를 따르며,

 

나는 벌써 달디단 물구지우림 둥굴레우림을 생각하고

아직 멀은 도토리묵 도토리범벅까지도 그리워한다.

 

 

뒤울안 살구나무 아래서 광살구를 찾다가

살구벼락을 맞고 울다가 웃는 나를 보고

밑구멍에 털이 몇 자나 났나 보자고 한 것은 가즈랑집 할머니다

찰복숭아를 먹다가 씨를 삼키고 죽는 것만 같아 하루종일 놀지도 못하고 밥도 안 먹은 것도

 

가즈랑집에 마을을 가서

당세 먹은 강아지같이 좋아라고 집오래를 설레다가였다.

 

 

 

-시집 <사슴>(1936)-

 

 

 

 

해 설

 

 

[개관정리]

 

성격 : 토속적, 향토적, 서정적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가즈랑집 '가즈랑'은 고개 이름. '가즈랑집'은 할머니의 택호를 뜻함.

 

* 쇠메 쇠로 된 메. 묵직한 쇠토막에 구멍을 뚫고 자루를 박음.

 

* 깽제미 꽹과리

 

* 막써레기 거칠게 썬 엽연초

 

* 구신집 무당집

 

* 구신간시렁 걸립(乞粒) 귀신을 모셔놓은 시렁. 집집마다 대청 도리 위 한 구석에 조그마한 널빤지로 선반을 매고 위하였음.

 

* 당즈깨 당세기. 고리버들이나 대오리를 길고 둥글게 결은 작은 고리짝

 

* 수영 수양(收養). 데려다 기른 딸이나 아들

 

* 아르대즘퍼리 '아래쪽에 있는 진창으로 된 펄'이라는 뜻의 평안도식 지명

 

* 제비꼬리 회순. 식용 산나물의 이름

 

* 물구지우림 물구지(무릇)의 알뿌리를 물에 담가 쓴 맛을 우려낸 것

 

* 둥굴레우림 둥굴레풀의 어린 잎을 물에 담가 쓴 맛을 우려낸 것

 

* 광살구 너무 익어 저절로 떨어지게 된 살구

 

* 당세 당수. 곡식가루에 술을 쳐서 미음처럼 쑨 음식

 

* 집오래 집의 울 안팎

 

 

 

주제 : 농촌 공동체에 대한 그리움

 

 

[이해와감상의 길잡이]

 

해방 이후 고향인 평안북도 정주에 남아 있었던 것 때문에 분단과 함께 월북 작가로 잘못 분류되어 그동안 별로 알려지지 않았던 백석은, 이 시에서 보는 것처럼 평북 사투리를 구수하게 구사할 줄 아는 시인이었다. 소월과 동향으로 평소 그를 매우 존경했던 것으로 알려진 백석은, 소월도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사투리의 구사로 시에서의 향토성을 유감 없이 발휘한 시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백석의 사투리 구사는 단순히 향토적 색채를 드러내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농촌 공동체 내에서의 연대의식을 끈끈하게 지탱하게 하는 힘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일제 식민지 치하에서 민족의식을 유지할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은 단지 우리말의 보존이었음을 상기할 때, 백석의 시는 민요 가락에 실은 구수한 사투리로 그 누구의 작품보다도 우리의 민족 정서를 잘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가즈랑고개' 밑의 할머니가 살고 있는 '가즈랑집'을 소재로 하여 시적 화자의 유년 체험을 농촌 공동체에서의 연대의식의 표출로 승화시킨 이 시도 백석의 이와 같은 면모를 잘 드러내고 있는 그의 대표작의 하나이다.

 

1연부터 4연까지는 '가즈랑집'의 유래나 내력 등을 서술하고 있는데, 이에 따르면 '가즈랑집''예순이 넘은 아들 없는' 할머니가 혼자 살고 있는 '가즈랑고개 밑의 집'이며, '산 너머 마을서 도야지를 잃는 밤 짐승을 쫓는 깽제미 소리가 무서웁게 들려오는 집'으로 마을과는 동떨어져 있다. 그러므로 그런 '가즈랑집'에서 살고 있는 '가즈랑집 할머니'는 세월의 굴곡 속에서 쓸쓸함과 강인함을 다함께 가지고 있는 분임을 알 수 있다. 이런 면을 고려해 볼 때, '가즈랑'이란 단어에서 이미 고개의 이미지와 함께 카랑카랑한 할머니의 이미지를 충분히 연상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시는 <여우난 곬족>과 함께 토속적인 지명을 적절히 시제로 선택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화자는 이 집에서 '돌나물 김치에 백설기를 먹으며' 옛날 이야기를 듣기도 하고, '살구벼락을 맞고 울다가 웃기도 하고', '청복숭아를 먹다가 씨를 삼키고는 죽는 것만 같아 하루 종일 놀지도 못하고 밥도 안 먹은' 그리운 추억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그에게 있어서 '가즈랑집 할머니'는 단지 추억의 한 부분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가즈랑집 할머니''구신'의 딸이라고 생각하고 슬퍼지듯 '가즈랑집'은 화자가 마음 속에 의지하고 있는 안식처인 것이다.

 

백석은 바로 이러한 안식처에 대한 깊은 그리움을 당시 식민지 치하의 지식인들 뿐 아니라, 오늘날의 현대인들에게도 풍족히 제공해 주고 있는 것이다.

 

 

 

 

 

'현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격  (0) 2021.12.09
  (0) 2021.12.09
가정 /이상  (0) 2021.12.09
가재미  (0) 2021.12.09
가을의 기도  (0) 2021.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