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수필2203

3. 한국의 사상 한국의 사상 박 종 홍 한국 사람이 겪어 온 고난 극복의 역사가 파란과 곡절로써 아로새겨질 적마다, 한국의 사상은 폭이 넓어지고 깊이를 더하여 왔다. 따라서, 섣부른 일면적 고찰로써 한국 사상 전체의 본령을 파악하기는 매우 곤란한 일인 줄 안다. 흔히 말하기를, 한국 사람은 대체로 현세적, 실제적인 것에 애착을 가지고, 그를 즐기려 하며 중시하려는 경향이 많다고 한다. 옛날 사람이 본디 그러했을 것이며, 근세에 와서는 거기에다 유교의 영향도 컸으리라고 짐작된다. 그러나, 가령 같은 불교에 있어서도 삼국 시대의 유물로서 오히려 미륵 불상의 절묘한 작품을 많이 볼 수 있다거나 저 궁예가 미륵불의 현신이라고 자칭하였음은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미래불인 미륵을 숭상함은 현세적, 실제적인 것을 단순하게 그것만으로.. 2022. 1. 2.
2. 순국선열추념문 순국 선열 추념문(殉國先烈追念文) 정 인 보 (鄭寅普) 대한민국 27년 12월 23일 임시정부주석 金九는 순국선열 영령의 앞에 고하나이다. 우리 국조(國祖) 형극(荊棘)을 개제(開除)하시고 정교(政敎)를 베푸신 뒤로 면연(綿延)함이 거의 오천 년에 미치는 그 동안, 흥폐(興廢)의 고(故)가 어찌 한두번이리요마는, 실상은 한 족류(族類)로서의 대승(代承)이요, 혹 외구(外寇)의 침탈(侵奪)함이 있었다 할지라도 그 지역(地域)이 일구(一區)에 그쳐, 환해 고윤(桓解古胤)의 내려오는 통서(統緖)는 언제나 엄연(儼然)하였었나니, 우리 몸소 당한 바 변난(變難)이야말로 사상(史上)에서 보지 못하던 초유(初有)의 참(慘)이라. 광무(光武) 을사(乙巳)로 비롯하여 정미(丁未)를 지나 윤희(隆熙) 경술(庚戌)에 와서 .. 2021. 12. 29.
1. 기미독립선언서 己未 獨立 宣言書(기미독립선언서) 宣 言 書( 선 언 서 ) 吾等(오등)은 玆(자)에 我(아) 朝鮮(조선)의 獨立國(독립국)임과 朝鮮人(조선인)의 自主民(자주민)임을 宣言(선 언)하노라. 此(차)로써 世界萬邦(세계만방)에 告(고)하야 人類平等(인류평등)의 大義(대의)를 克明(극명)하며, 此(차)로써 子孫萬代(자손만대)에 誥(고)하야 民族自存(민족자존)의 正權(정권)을 永有(영유)케 하노라. 半萬年(반 만년) 歷史(역사)의 權威(권위)를 仗(장)하야 此(차)를 宣言(선언)함이며, 二千萬(이천만) 民衆(민중) 의 誠忠(성충)을 合(합)하??此(차)를 佈明(포명)함이며, 民族(민족)의 恒久如一(항구여일)한 自由發展(자유발 전)을 爲(위)하야 此(차)를 主張(주장)함이며, 人類的(인류적) 良心(양심)의 發露(발.. 2021. 12.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