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단편소설3

42. 해방 전후

by 자한형 2022. 5. 19.
728x90

해방 전후(解放前後)-이태준

 

호출장(呼出狀)이란 것이 너무 자극적이어서 시달서(示達書)라 이름을 바꾸었다고는 하나, 무슨 이름의 쪽지이든, 그 긴치 않은 심부름이란 듯이 파출소 순사가 거만하게 던지고 간, 본서(本署)에의 출두명령은 한결같이 불쾌한 것이었다. () 자신보다도 먼저 얼굴빛이 달라지는 안해에게는 의롓건으로 심상한 체하면서도 속으로는 정도 이상 불안스러워 오라는 것이 내일 아침이지만 이 길로 가 진작 때이고 싶은 것이, 그래서 이 날은 아무 일도 손에 잡히지 않고, 밥맛이 없고, 설치는 밤잠에 꿈자리조차 뒤숭숭한 것이 소심한 편인 현으로는 <호출장> 때나 <시달서> 때나 마찬가지곤 했다.

현은 무슨 사상가도 주의자도, 무슨 전과자(前科者)도 아니었다. 시골청년들이 어떤 사건으로 잡히어서 가택수색을 당할 때 그의 저서(著書)가 한두 가지 나온다든지, 편지 왕래한 것이 한두 장 불거진다든지, 서울 가서 누구를 만나보았느냐는 심문에 현의 이름이 끌려든다든지 해서, 청년들에게 제법 무슨 사상지도나 하고 있지 않나 하는 혐의로 가끔 오너라 하기 시작한 것이 인젠 저들의 수첩에 준요시찰인(準要視察人) 정도로는 오른 모양인데 구금(拘禁)을 할 정도라면 당장 데려갈 것이지 호출장이니 시달서니가 아닐 것은 짐작하면서도 번번히 불안스러웠고 더욱 이번에는 은근히 마음 쓰이는 것이 없지도 않았다. 일반지원병제도(一般志願兵制度)와 학생특별지원병제도 때문에 뜻 아닌 죽음이기보다, 뜻아닌 살인, 살인이라도 내 민족에게 유일한 희망을 주고 있는 중국이나 영미나 소련의 우군(友軍)을 죽여야 하는, 그리고 내 몸이 죽되 원수 일본을 위하는 죽음이 되어야 하는, 이 모순된 번민으로 행여나 무슨 해결을 얻을까 해서 더듬고 더듬다가는 한낱 소설가인 현을 찾아와 준 청년도 한둘이 아니었다. 현은 하루 이틀 동안에 극도의 신경쇠약이 된 청년도 보았고 다녀간 지 한 종일 뒤에 자살하는 유서를 보내온 청년도 있었다. 이런 심각한 민족의 번민을 현은 제 몸만이 학병 자신이 아니라 해서 혼자 뒷날을 사려해 가며 같은 불행한 형제로서의 울분을 절제할 수는 없었다. 때로는 전혀 초면들이라 저 사람이 내 속을 떠보려는 밀정이나 아닌가 의심하면서도, 그런 의심부터가 용서될 수 없다는 자책으로 현은 아무리 낯선 청년에게라도 일러주고 싶은 말은 한 마디도 굽히거나 남긴 적이 없는 흥분이곤 했다. 그들을 보내고 고요한 서재에서 아직도 상기된 얼굴은 그에 무슨 일을 저지르고 만 불안이었고 이왕 불안일 바엔 이왕 저질르는 바엔 이 한 걸음 절박해오는 민족의 최후에 있어 좀더 보람있는 저질름을 하고 싶은 충동도 없지 않았으나 그 자신 아무런 준비도 없었고 너무나 오랜동안 굳어 버린 성격의 껍데기는 여간 힘으로는 제 자신이 깨트리고 솟아날 수가 없었다. 그의 최극작인 어느 단편 끝에서,

<한 사조(思潮)의 밑에 잠겨 사는 것도 한 물 밑에 사는 넋일 것이다. 상전벽해(桑田碧海)라 일러는 오나 모든 게 따로 대세의 운행이 있을 뿐 처음부터 자갈을 날라 메꾸듯 할 수는 없을 것이다.>라고 한 구절을 되뇌이면서 자기를 헐가로 규정해 버리는 쓴웃음을 지을 뿐이었다.

당신은 메칠 안 남았다고 하지만 특공댄(特攻隊)지 정신대(挺身隊)지 고 악지 센 것들이 끝까지 일인일함(一人一艦)으로 뻣댄다면 아모리 물자 많은 미국이라고 일본 병정 수효만치야 군함을 만 들 수 없을거요. 일본이 망하기란 하늘에 별따기 같은 걸 기다리나 보오!

현의 안해는 이 날도 보송보송해 잠들지 못하는 남편더러 집을 팔고 시골로 가자 하였다. 시골 중에도 관청에서 동뜬 두메로 들어가 자농(自農)이라도 하면서 하루라도 마음 편하게 살다 죽자 하였다. 그런 생각은 안해가 꼬드기기 전에 현도 미리부터 궁리하던 것이다. 지금 외국으로는 나갈 수 없고 어디고 하늘 밑인 바에야 그야말로 민불견리(民不見吏) 야불구폐(夜不狗吠)의 요순(堯舜) 때 농촌이 어느 구석에 남아 있을 것이가? 그런 도원경(桃源境)이 없다 해서 언제까지나 서울서 견딜 수 있느냐 하면 그런 것도 아니요 소위 시국물(時局物)이나 일문(日文)에의 전향이라면 차라리 붓을 꺾어 버리려는 현으로는 이미 생계(生計)에 꿀리는 지 오래며 앞으로 쳐다볼 것은 집밖에 없는데 집을 건드릴 바에는 꼬깜꼬치로 없애기보다 시골로 가 다만 몇 마지기라도 땅을 잡아야 한다는 것이 상책이긴 하다. 그러나 성격의 껍데기를 깨치기처럼 생활의 껍데기를 갈아 본다는 것도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다. 좀더 정세를 봅시다

이것이 가족들에게 무능하다는 공격을 일 년이나 두고 받아오는 현의 태도였다.

 

× × ×

 

동대문서 고등계의 현의 담임인 쓰루다 형사는 과히 인상이 험한 사나이는 아니다. 저희 주임만 없으면 먼저 조선말로 <별일은 없습니다만 또 오시래 미안합니다>쯤 인사도 하곤 하는데 이 날은 되빡이마에 옴팍 눈인 주임이 딱 뻗치고 앉아 있어 쓰루다까지도 현의 한참이나 수그리는 인사는 본 체 안하고 눈짓으로 옆에 놓은 의자만 가리키었다.

현의 모자가 아직 그들과 같은 국방모(國防帽) 아님을 민망히 주물르면서 단정히 앉았다. 형사는 무엇 쓰던 것을 한참 만에야 끝내더니 요즘 무엇을 하느냐 물었다. 별로 하는 일이 없노라 하니 무엇을 할 작정이냐 따진다. 글쎄요 하고 없는 정을 있는 듯이 웃어 보이니 그는 힐끗 저희 주임을 돌려보았다. 주임은 무엇인지 서류에 도장 찍기에 골똘해 있다. 형사는 그제야 무슨 뚜껑 있는 서류를 끄집어내어 뚜껑으로 가리고 저만 들여다보면서 이렇게 물었다.

시국을 위해 왜 아모것도 안 하십니까?

나 같은 사람이 무슨 힘이 있습니까?

그러지 말구 뭘 좀 허십시오. 사실인즉 도 경찰부에서 현선생 같으신 몇 분에게, 시국에 협력하는 무슨 일 한 것이 있는가? 또 하면서 장차 어떤 방면으로 시국협력에 가능성이 있는가? 생활비 가 어디서 나오는가? 이런 걸 조사해 올리란 긴급지시가 온 겁니다

글쎄올시다 하고 현은 더욱 민망해 쓰루다의 얼굴만 쳐다보는 수밖에 없었다.

그래두 뭘 하신다고 보고가 돼야 좋을 걸요. 그 허기 쉬운 창씨(創氏) 왜 안 허시나요?

수속이 힘들어 못하는 줄로 딱해 하는 쓰루다에게 현은 어서 이것에 관해서도 대답할 말이 없었다.

우리 따위 하층 경관이야 뭘 알겠습니까만 인젠 누구 한 사람 방관적 태도는 용서되지 않을 겁니다

잘 보신 말씀입니다

현은 우선 이번의 호출도 그 강압관념에서 불안해하던 구금(拘禁)이 아닌 것만 다행히 알면서 우물쭈물하던 끝에

그렇지 않아도 쉬 뭘 한 가지 해보려던 찹니다. 좋도록 보고해 주십시오

하고 물러 나왔고 나오는 길로 그는 어느 출판사로 갔다. 그 출판사의 주문이기보다 그곳 주간(主幹)을 통해 나온 경무국(警務局)의 지시라는, 그뿐만 아니라 문인 시국강연회 떄 혼자 조선말로 했고 그나마 마지못해 춘향전 한 구절만 읽은 것이 군()에서 말썽이 되니 이것으로라도 얼른 한 가지 성의를 보여야 좋으리라는 대동아전기(大東亞戰記)의 번역을 현은 더 망설이지 못하고 맡은 것이다.

심란한 남편의 심정을 동정해 안해는 어느 날보다도 정성 들여 깨끗이 치운 서재에 일본신문의 기리누끼를 한 몽뎅이 쏟아놓을 떄 현은 일찍 자기 서재에서 이처럼 지저분함을 느껴본 적이 없었다.

<철 알기 시작하면서부터 굴욕만으로 살아온 인생 사십, 사랑의 열락도 청춘의 영광도 예술의 명예 도 우리에겐 없었다. 일본의 패전기라면 몰라 일본에 유리한 전기(戰記)를 내 손으로 주물르는 건 무엇 때문인가?>

현은 정말 살고 싶었다. 살고 싶다기보다 살아 견디어내고 싶었다. 조국의 적일 뿐 아니라 인류의 적이요 문화의 적인 나치스의 타도(打倒)를 오직 사회주의에 기대하던 독일의 한 시인은 모로토프가 히틀러와 악수를 하고 독소중립조약(獨蘇中立條約)이 성립되는 것을 보고는 그만 단순한 생각에 절망하고 자살하였다 한다.

<그 시인의 판단은 경솔하였던 것이다. 지금 독소는 싸우고 있지 않은가! 미영중(美英中)도 일본과 싸우고 있다. 연합군의 승리를 믿자! 정의와 역사의 법칙을 믿자! 정의와 역사의 법칙이 인류를 배반한다면 그때는 절망하여도 늦지 않을 것이다!>

 

× × ×

 

현은 집을 팔지는 않았다. 구라파에서 제이 전선이 아직 전개되지 않았고 태평양에서 일본군이 아직 라바울을 지킨다고는 하나 멀어야 이삼년이겠지 하는 심산으로 집을 최대한도로 잡혀만 가지고 서울을 떠난 것이다. 그곳 공의(公醫)를 아는 것이 발련으로 강원도 어느 산읍이었다. 철도에서 팔십 리를 버스로 들어오는 곳이요 예전엔 현감(縣監)이 있었던 곳이나 지금은 면소와 주재소 뿐의 한적한 구읍이다. 어느 시골서나 공의는 관리들과 무관하니 무엇보다 그 덕으로 징용(徵用)이나 면할까 함이요, 다음으로 잡곡의 소산지니 식량해결을 위해서요 그리고는 가까이 임진강 상류가 있어 낚시질로 세월을 기다릴 수 있음도 현이 그곳을 택한 이유의 하나였다.

그러나 와서 실정에 부딪쳐보니 이 세 가지는 하나도 탐탁한 것은 아니었다. 면사무소엔 상장(賞狀)이 십여 개나 걸려 있는 모범면장으로 나라에선 상을 타나 백성에겐 그만치 원망을 사는 이 시대의 모순을 이 면장이라고 예외일 리 없어 성미가 강직해 바른말을 잘 쏘는 공의와는 사이가 일찍부터 틀린데다가, 공의는 육 개월이나 장기간 강습으로 이내 서울 가 버리고 말았으니 징용 면할 길이 보장되지 못했고 그 외에 아는 사람이라고는 공의의 소개로 처음 지면한 향교직원(鄕校職員)으로 있는 분인데 일 년에 단 두 번 군수제향 때나 고을 사람들의 기억에서 살아나는 <김직원님>으로는 친구네 양식은커녕 자기 식구 때문에도 손이 흰, 현실적으로는 현이나 마찬가지의 아직도 상투가 있는 구식 노인인 선비였다.

낚시터도 처음 와 볼 때는 지척 같더니 자주 다니기엔 거의 십리나 되는 고달픈 길일 뿐 아니라 하필 주재소 앞을 지나야 나가게 되었고 부장님이나 순사나리의 눈을 피하려면 길도 없는 산등성이 하나를 넘어야 되는데 하루는 우편국 모퉁이에서 넌즈시 살펴보니까 네무라라는 조선 순사가 눈에 띄었다. 현은 낚시도구부터 질겁을 해 뒤로 감추며 한 걸음 물러서 바라보니 촌사람들이 무슨 나무껍질 벗겨온 것을 면서기들과 함께 점검하는 모양이다. 웃통은 속옷 바람이나 다리는 각반을 차고 칼을 차고 회초리를 들고 이 사람 저 사람에게 거드름을 부리고 있었다. 날래 끝날 것 같지 않아 현은 이번도 다시 돌아서 뒷산 등을 넘기로 하였다.

길도 없는 가닥숲을 젖히며 비 뒤에 미끄러운 비탈을 한참이나 해매어서 비로소 펑퍼짐한 중턱에 올라설 때다. 멀지 않은 시야에 곰처럼 시커먼 것이 우뚝 마주서는 것은 순사부장이다. 현은 산짐승에게보다 더 놀라 들었던 두 손의 낚시도구를 이번에는 펄썩 놓아 버리었다.

당신 어데 가오?

현의 눈에 부장은 눈까지 부릅뜨는 것으로 보였다.

. 바람 좀 쏘이러요

그제야 현은 대패밥 모자를 벗으며 인사를 하였으나 부장은 이미 팔뚝을 바라보는 때였다. 부장이 바라보는 쪽에는 면장도 서 있었고 자세히 보니 남향하야 큰 정구(庭球)-트만치 장방형으로 새끼줄이 치어져 있는데 부장과 면장의 대화로 보아 신사(神社)터를 잡는 눈치였다. 현은 말뚝처럼 우뚝히 섰을 뿐 어찌해야 좋을지 몰랐다. 놓아 버린 낚시도구를 집어 올릴 용기도 없거니와 집어올린댓자 새끼줄을 두 번이나 넘으면서 신사터를 지나갈 용기는 더욱 없었다. 게다가 부장도 무어라고 수근거리며 가끔 현을 돌아다본다. 꽃이라도 있으면 한 가지 꺾어드는 체하겠는데 패랭이꽃 한 송이 눈에 띄지 않는다. 얼마 만에야 부장과 면장이 일시에 딴 쪽을 향하는 틈을 타서 수갑에 채였던 것 같던 현의 손은 날쌔게 그 시국에 태만한 증거물들을 집어들고 허둥지둥 그만 집으로 내려오고 말은 것이다.

아버지 왜 낚시질 안 가구 도로 오슈?

현은 아이들에게 대답할 말이 미처 생각나지도 않았거니와 그보다 먼저 현의 뒤를 따라온 듯한 이웃집 아이 한 녀석이,

너이 아버지 부장한테 들켜서 도루 온단다

하는 것이었다.

 

× × ×

 

낚시질을 못 가는 날은 현은 책을 보거나 그렇지 않으면 김직원을 찾아갔고 김직원도 현이 강에 나가지 않았음직한 날은 으레 찾아왔다. 상종한다기보다 모시어 볼수록 깨끗한 노인이요 이 고을에선 엄연히 존경을 받아야 옳을 유일한 인격자요 지사였다. 현은 가끔 기인여옥(其人如玉)이란 이런 이를 가리킴이라 느끼었다. 기미년 삼일운동 때 감옥살이로 서울에 끌려왔을 뿐, 조선이 망한 이후 한 번 도 자의로는 총독부가 생긴 서울엔 오기를 피한 이다. 창씨를 안하고 견디는 것은 물론, 감옥에서 나오는 날부터 다시 상투요 갓이었다. 현과는 워낙 수십 년 연장(年長)인데다 현이 한문이 부치어 그분이 지은 시를 알지 못하고 그분이 신문학에 무심하여 현대문학을 논담하지 못하는 것이 서로 유감일 뿐 불행한 족속으로서 억천 암흑 속에 일루의 광명을 향해 남몰래 더듬는 그 간곡한 심정의 촉수만은 말하지 않아도 서로 굳게 합하고도 남아 한두 번 만남으로 서로 간담을 비추는 사이가 되었다.

하루 저녁은 주름 잡히었으나 정채 돋는 두 눈에 눈물이 마르지 않은 채 찾아왔다. 현은 아기는 촛불을 켜고 맞았다.

내 오늘 다 큰 조카자식을 행길에서 매질을 했소

김직원은 그저 손이 부들부들 떨며 있었다. 조카 하나가 면서기로 다니는데 그의 매부, 즉 이분의 조카사위 되는 청년이 일본으로 징용 당해 가던 도중에 도망해 왔다. 몸을 피해 처가에 온 것을 이곳 면장이 알고 처남더러 잡아오라 했다. 이 기미를 안 매부청년은 산으로 뛰어올라갔다. 처남청년은 경방단의 응원을 얻어 산을 에워싸고 토끼 잡듯 붙들어다 주재소로 넘기고 있다는 것이다.

강박한 처남이로군!

현도 탄식하였다.

잡아오지 못하면 네가 대신 가야 한다고 다짐을 받었답듸다만 대신 가기루서 제 집으로 피해 온 명색이 매부녀석을 경방단들이 끌구 올라가 돌팔매질을 하면서꺼정 붙들어다 함정에 넣어야 옳소?

지금 젊은 놈들은 쓸개가 없음네다!

그러니 지금 세상에 부모기로니 그걸 어떻게 공공연히 책망하십니까? 분해 견딜 수가 있소! 면소 서 나오는 놈을 노상이면 어떻소. 잠자코 한참 대실대가 끊어져 나가도록 패주었지요. 맞는 제 놈도 닭을 알겠고 보는 사람들도 아는 놈은 알었겠지만 알면 대사요

이 날은 현도 우울한 일이 있었다. 서울 문인보국회(文人報國會)에서 문인궐기대회가 있으니 올라오라는 전보가 온 것이다. 현에게는 엽서 한 장이 와도 먼저 알고 있는 주재소에서 장문 전보가 온 것을 모를 리 없고 일본 제국의 흥망이 절박한 이때 문인들의 궐기대회에 밤낮 낚시질만 다니는 이 자가 응하느냐 안 응하느냐는 주재소뿐 아니라 일본인이요 방공감시 초장인 우편국장까지도 흥미를 가진 듯, 현의 딸아이가 저녁때 편지 부치러 나갔더니, 너희 아버지 내일 서울 가느냐 묻더라는 것이다.

김직원은 처음엔 현더러 문인궐기대회에 가지 말라 하였다. 가지 말라는 말을 들으니 현은 가지 않기가 도리어 겁이 났다. 그랬는데 다음날 두 번째 또 그 다음날 세 번째의 좌우간 답전을 하라는 독촉전보를 받았다. 이것을 안 김직원은 그날 일찍이 현을 찾아왔다.

우리 따위 노흔한 것들이야 새 세상을 만난들 무슨 소용이리까만 현공 같은 젊은이는 어떡하든 부지했다가 그에 한몫 맡아주시오. 그러자면 웬만한 일이건 과히 뻗대지 맙시다. 징용만 면헐 도리를 해요

그리고 이 날은 가네무라 순사가 나타나서, 이틀밖에 안 남았는데 언제 떠나느냐, 떠나면 여행 증명을 해 가지고 가야 하지 않느냐, 만일 안 떠나면 참석 안하는 이유는 무엇이냐, 나중에는, 서울 가면 자기의 회중시계 수선을 좀 부탁하겠다 하고 갔다. 현은 역시,

<살고 싶다!>

또 한 번 비명(悲鳴)을 하고 하루를 앞두고 가네무라 순사의 수선할 시계를 맡아 가지고 궂은 비 뿌리는 날 서울 문인보국회로 올라온 것이다.

현에게 전보를 세 번씩이나 친 것은 까닭이 있었다. 얼마 전에 시국협력을 달갑게 여기지 않는 중견층 칠팔 인을 문인보국회 간부급 몇 사람이 정보과장과 하루 저녁의 합석을 알선한 일이 있었는데 그날 저녁에 현만은 참석되지 못했으므로 이번 대회에 특히 순서 하나를 맡기게 되면 현을 위해서도 생색이려니와 그 간부급 몇 사람의 성의도 드러나는 것이었다. 현더러 소설부를 대표해 무슨 진언(眞言)을 하라는 것이었다. 현은 얼마 앙탈해 보았으나 나타난 이상 끝까지 뻗대지 못하고 이튿날 대회회장으로 따라나왔다. 부민관인 회장의 광경은 어마어마하였다. 모두 국민복에 예장(禮章)을 찼고 총독부 무슨 각하, 조선군 무슨 각하, 예복에 군복에 서슬이 푸르렀고 일본 작가에 누구, 만주국 작가에 누구, 조선문단이 생긴 이후 첫 어마어마한 집회였다. 현은 시골서 낚시질 다니던 진흙 묻은 웃저고리에 바지만은 후란네루를 입었으나 국방색도 아니요, 각반도 차지 않아 자기의 복장은 시국색조에 너무나 무감각했음이 변명할 여지가 없게 되었다. 그러나 갑자기 변장할 도리도 없어 그래도 진행되는 절차를 바라보는 동안 현은 차차 이 대회에 일종 흥미도 없지 않았다. 현이 한동안 시골서 붕어나 보고 꾀꼬리나 듣던 단순해진 눈과 귀가 이 대회에서 다시 한번 선명하게 느낀 것은 팟쇼 국가의 문화행정의 야만성이었다. 어떤 각하 자리는 심지어 히틀러의 말 그대로 문화란 일단 중지했다가도 필요한 때엔 일조일석에 부활시킬 수 있는 것이니 문학이건 예술이건, 전쟁도구가 못되는 것은 아낌없이 박멸하여도 좋다 하였고 문화의 생산자인 시인이며 평론가며 소설가들도 이런 무장각하(武裝閣下)들의 웅변에 박수 갈채할 뿐 아니라 다투어 일어서, 쓰러져 가는 문화의 옹호이기보다는 관리와 군인의 저속한 비위를 핥기에만 혓바닥의 침을 말리었다. 그리고 현의 마음을 측은케 한 것은 그 핏기 없고 살 여윈 만주국 작가의 서투른 일본말로의 축사였다. 그 익지 않은 외국어에 부자연하게 움직이는 얼굴은 작고 슬프게만 보였다. 조선문인들의 일본말은 대개 유창하였다. 서투른 것을 보다 유창한 것을 보니 유쾌해야 할 터인데 도리어 얄미운 것은 무슨 까닭일까. 차라리 제 소리 외에는 옮길 줄 모르는 개나 도야지가 얼마나 명예스러우랴 싶었다. 약소민족은 강대 민족의 말을 배우기 시작하는 것부터가 비극의 감수(甘受)였던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그러면 일본 작가들의 축사나 주장은 자연스럽게 보이고 옳게 생각되었느냐 하면 그것도 아니었다. 현의 생각엔 일본인 작가들의 행동이야말로 이해하기 곤란하였다. 한때는 유종열(柳宗悅) 같은 사람은,

동포여 군국주의를 버려라. 약한 자를 학대하는 것은 일본의 명예가 아니다. 끝까지 이 인륜(人倫)을 유린할 때는 세계가 일본의 적이 될 것이니 그때는 망하는 것이 조선이 아니라 일본이 아닐 것인가?

하고 외치었고 한때는 히틀러가 조국이 없는 유태인들을 추방하고 진시황(秦始皇)처럼 번문욕례(繁文褥禮)를 빙자해 철학, 문학을 불지를 때 이전에 제법 항의를 결의한 문화인들이 일본에도 있지 않았는가? 그들은 지금 무엇을 하고 찍소리도 없는 것인가? 조선인이나 만주인의 경우보다는 그래도 조국이나 저희 동족에의 진정한 사랑과 의견을 외칠 만한 자유와 의무는 남아 있지 않은 것인가? 진정한 문화인의 양심이 아직 일본에 있다면 조선인과 만주인의 불평을 해결은커녕 위로조차 아니라 불평할 줄 아는 그 본능까지 마비시키려는 사이비(似而非) 종교가 많이 쏟아져 나오고 저희 민족문화의 발원지(發源地)라고도 할 수 있는 조선의 문화나 예술을 보호는 못할망정, 야만적 관료의 앞잡이가 되어 조선어의 말살과 긴치 않은 동조론(同調論)이나 국민극(國民劇)의 앞잡이 따위로나 나와 돌아다니는 꼴들은 반세기의 일본문화란 너무나 허무한 것이 아닌가? 물론 그네들도 양심 있는 문화인은 상당한 수난(受難)일 줄은 안다. 그러나 너무나 태평무사하지 않은가? 이런 생각에서 펀뜻 박수소리에 놀라는 현은, 차츰 자기도 등단해야 될, 그 만주국 작가보다 더 비극적으로 얼굴의 근육을 경련시키면서 내용이 더 구린 일본어를 배설해야 될 것을 깨달을 때, 또 여태껏 일본 문화인들을 비난하며 있던 제 속을 들여다볼 때 <네 자신은 무어냐? 네 자신은 무엇하러 여기 와 앉아 있는 거냐?> 현은 무서운 꿈속이었다. 뛰어도 뛰어도 그 자리에만 있는 꿈속에서처럼 현은 기를 쓰고 뛰듯 해서 겨우 자리를 일어섰다. 일어서고 보니 걸음은 꿈과는 달라 옮겨지었다. 모자가 남아 있는 것도 인식 못하고 현은 모든 시선이 올가미를 던지는 것 같은 회장을 슬그머니 빠져 나오고 말았다.

<어찌 될 것인가? 의장 가야마 선생은 곧 내가 나설 순서를 지적할 것이다. 문인보국회 간부들은 그 어마어마한 고급관리와 고급군인들의 앞에서 창씨 안한 내 이름을 외치면서 찾을 것이다!>

위에서 누가 내려오는 소리가 난다. 우선 현은 변소로 들어섰다. 내려오는 사람은 절거덕 절거덕 칼 소리가 났다. 바로 이 부민관 식장에서 언젠가 한번 우리 문인들에게, 너희가 황국신민으로서 충성하지 않을 때는 이 칼이 너희 목을 용서하지 않을 것이니 하던 그도 우리 동포인 무슨 중쇠인가 그 자인지도 모르는데 절거덕 소리는 변소로 들어오는 눈치다. 현은 얼른 대변소 속으로 들어섰다. 한참만에야 소변을 끝낸 칼 소리의 주인공은 나가 버리었다. 그러나 그 뒤를 이어 이내 다른 구두소리가 들어선다. 누구이든 이 속을 엿볼 리는 없을 것이다. 현은, 그 시골서 낚시질을 가던 길 산등성이에서 순사부장과 맞딱뜨리었을 때처럼 꼼짝 못하겠다. 변기(便器)는 씻겨 내려가는 식이나, 상당한 무더위와 독하도록 불결한 데다. 현은 담배를 꺼내 피워 물었다. 아무리 유치장이나 감방 속이기로 이다지 좁고 이다지 더러운 공기는 아니리라 싶어 사람이 드나드는 곳 치고 용무(用務) 이외에 머무르기 힘든 곳은 변소 속이라 느낀 때, 현은 쓴웃음도 나왔다. 삼층 위에선 박수소리가 울려왔다. 그리고는 조용하다. 조용해진 지 얼마 만에야 현은 밖으로 나왔다. 그리고 맨머리 바람인 채, 다시 한번 될 대로 되어라 하고 시내에서 그 중 동뜬 성북동에 있는 친구에게로 달려오고 말은 것이다.

 

× × ×

어찌 되었든 현이 서울 다녀온 보람은 없지 않았다. 깔끔하여 인사도 제대로 받지 않으려던 가네무라 순사가 시계를 고쳐다 준 이후부터는 제법 상냥해졌고, 우편국장, 순사부장, 면장들이, 문인대회에서 전보를 세 번씩이나 쳐서 불러간 현을 그전보다는 약간 평가를 높이 하는 듯, 저희 편에서도 자진해 인사를 보내게끔 되어 이제는 그들이 보는데도 낚싯대를 어엿이 들고 지나다니게끔 되었다.

낚시질은, 현이 사용하는 도구나 방법이 동양 것이어서 그런지는 몰라도 역시 동양적인 소견법(消遣法)의 하나 같았다. 곤드레가 그린 듯이 소식 없기를 오랄 때에는 그대로 강 속에 마음을 둔 채 조을고도 싶었고, 때로는 거친 목소리나마 한 가락 노래도 흥얼거리고 싶은 것인데 이런 때는 신시(新詩)보다는 시조나 한시(漢詩)를 읊는 것이 제격이었다.

 

小縣依山脚 官樓似鐘懸

觀書啼鳥裏 聽訴落花前

俸簿稱貧吏 身閑號散仙

新叅釣魚社 月半在江邊

 

현이 이곳에 와서 무엇이고 군소리 내고 싶은 때 즐겨 읊조리는 한시다. 한 번은 김직원과 글씨 이야기를 하다가 고비(古碑) 이야기가 나오고 나중에는 심심하니 동구(洞口)에 늘어선 현감비(縣監碑)들이나 구경 가자고 나섰다. 거기서 현은 가장 첫머리에 대산강진(對山姜瑨)의 비를 그제야 처음 보았고 이조말(李朝末) 사가시(四家詩)의 계승자(繼承者)라고 하는 시인 대산이 한때 이곳 현감으로 왔던 사적을 반겨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그 길로 김직원 댁으로 가서 두 권으로 된 이 대산집(對山集)을 빌리어다 보니 중년작은 거의가 이 산읍에 와서 지은 것이며 현이 가끔 올라가는 만경산(萬景山)이며 낚시질 오는 용구소(龍九沼)며 여조유신(麗朝遺臣) 허모(許某)가 와 은둔해 있던 곳이라는 두문동(杜門洞)이며 진작 이 시인 현감의 시제(詩題)에 오리지 않은 구석이 별로 없다. 그는 일찍부터 출재산수향(出宰山水鄕) 독서송계림(讀書松桂林)의 한퇴지(韓退之)의 유풍을 사모하여 이런 산수향에 수령되어 왔음을 매우 만족해 한 듯하다. 새 우짖는 소리 속에 책을 읽고 꽃 홑는 나무 앞에서 백성의 시비를 가리는 것이라든지 녹은 적으나 몸 한가한 것만 신선이어서 새로 낚싯군들에 끼어 한 달이면 반은 강변에서 지내는 것을 스스로 호강스러워 예찬한 노래다. 벼슬살이가 이러할진댄 도연명(陶淵明)인들 굳이 팽택령(彭澤令)을 버렸을 리 없을 것이다. 몸이야 관직에 매었더라도 음풍영월(吟風泳月)만 할 수 있으면 문학이었고 굳이 관대를 끌르고 전원(田園)에 돌아갔으되 역시 음풀영월만이 문학이긴 마찬가지였다.

<관서제조리, 청소낙화전! 이런 운치의 정치를 못 가져봄은 현대 정치인의 불행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시 이런 운치 정치로 살 수 있는 세상이 올 수 있을 것인가? 음풍영월만으로 소견 못하는 것이 현대문인의 불행이기도 할 것이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음풍영월이 문학일 수 있는 세 상이 다시 올 수 있을 것인가? 아니 그런 세상이 올 필요나 있으며 또 그런 것이 현대 정치가나 예술가의 과연 흠모하는 생활이며 명예일 수 있을 것인가?>

현은 무시로 대산의 시를 입버릇처럼 읊조리면서도 그것은 한낱 왕조시대(王朝時代)의 고완품(古玩品)을 애무하는 것 같은 취미요 그것이 곧 오늘 자기 문학생활에 관련성을 가진 것이라고는 생각되지 않었다.

<그렇다고 내 자신이 걸어온 문학의 길은 어떠하였는가? 봉건시대의 소견문학과 얼마만한 차이를 가졌는가?>

현은 이것을 붓을 멈추고 자기를 전망할 수 있는 피란처에 와서야 또는 강대산 같은 전세대(前世代) 시인의 작품을 읽고야 비로소 반성하는 것은 아니었다. 현의 아직까지의 작품세계는 대개 신변적인 것이 많았다. 신변적인 것에 즐기어 한계를 둔 것은 아니나 계급보다 민족의 비애에 더 솔직했던 그는 계급에 편향했던 좌익엔 차라리 반감이었고 그렇다고 일제(日帝)의 조선민족정책에 정면 충돌로 나서기에는 현만이 아니라 조선문학의 진용 전체가 너무나 미약했고 너무나 국제적으로 고립해 있었다. 가끔 품속에 서린 현실자로서의 고민이 불끈거리지 않았음은 아니나 가혹한 검열제도 밑에서는 오직 인종(忍從)하지 않을 수 없었고 따라 체관(諦觀)의 세계로밖에는 열릴 길이 없었던 것이다.

<, 인젠 무엇을 어떻게 쓸 것인가? 일본이 망할 것은 정한 이치다. 미리 준비를 하자! 만일 일본 이 망하지 않는다면 조선은 문학이니 문화니가 문제가 아니다. 조선말은 그예 우리 민족에게서 떠나고 말 것이니 그때는 말만이 아니라 민족 자체가 성격적으로 완전히 파산되고마는 최후인 것이다. 이런 끔찍한 일본 군국주의의 음모를 역사는 과연 일본에게 허락할 것인가?>

현은 안해에게나 김직원에게는 멀어야 이제부터 일 년이란 것을 누누히 역설하면서도 정작 저 혼자 따져 생각할 때는 너무나 정보(情報)에 어두워 있으므로 막연하고 불안하였다. 그러나 파시즘의 국가들이 이기기나 하면 어쩌나 하는 불안은 이내 사라졌다. 뭇솔리니의 실각, 제이 전선의 전개, 싸이판의 함락, 일본신문이 전하는 것만으로도 전쟁의 대세는 이미 결정되어 있었다.

그렇다고 현은 붓을 들 수는 없었다. 자기가 쓰기는커넝 남의 것을 읽는 것조차 마음은 여유를 주지 않았다. 강가에 앉아 관서제조리 청소낙화전은 읊조릴망정, 태서 대가들의 역작, 명편은 도무지 모리속에 들어오지 않아, 다시 읽은 전쟁과 평화를 일 년이 걸리어도 하권은 그에 못다 읽고 말았다. 집엔 들어서기만 하면 쌀 걱정, 나무 걱정, 방바닥 뚫어진 것, 부엌 불편한 것, 신발 없는 것, 옷감 없는 것, 약 없는 것, 나중엔 삼 년은 견딜 줄 계산한 집 잡힌 돈이 일년이 못 다 되어 바닥이 났다. 징용도 아직 보장이 되지 못하였는데 남자 육십 세까지의 국민의용대 법령이 나왔다. 하루는 주재소에서 불렀다. 여기는 시달서도 없이 소사가 와서 일르는 것이니 불안하고 불쾌하긴 마찬가지다. 다만 그 불안을 서울서처럼 궁금한 채 내일까지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그 길로 달려가 즉시 결과를 알 수 있는 것만 다행이었다.

주재소에는 들어설 수 없게 문간에까지 촌사람들로 가득하였다. 현은 자기를 부른 일과 무슨 관계가 있나 해서 가만히 눈치부터 살피었다. 농사진 밀보리는 종자도 남기지 않고 모조리 걷어 들여오고 이름만 농가라고 배급은 주지 않으니 무얼 먹고살라느냐, 밤낮 증산이니, 무슨 공출이니 하지만 먹어야 농사도 짓고 먹어야 머루덤불도, 관솔도, 참나무 껍질도 해다 바치지 않느냐, 면에다 양식배급을 주도록 말해 달라고 진정하러들 온 것이었다. 실실 웃기만 하고 앉았던 부장이 현을 보더니 갑자기 얼굴에 위험을 갖추며 밖으로 나왔다.

오늘은 낚시질 안 갔소?

안 갔습니다

당신을 징병단에도, 방공감시에도 뽑지 않은 것은 나라를 위해서 글을 쓰라고 그냥 둔 것인데 자꾸 낚시질만 다니니까 소문이 나쁘게 나는 것이오. 내가 어제 본서에 들어갔더니, 거긴 이런 한가한 사람이 있어 버스에서 보면 늘 낚시질 하니 그게 누구냐고 단단히 말을 합디다. 인젠 우리 일본제국이 완전히 이길 때까지 낚시질은 그만둡시다

현은

그렇습니까? 미안합니다

하는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당신은, 출정군인이 있을 때마다 여기서 장행회가 있는데 한 번도 나오지 않지 않었소?

미안합니다. 앞으론 나오겠습니다

현은 몹시 우울했다.

첫장마 지난 후, 고기들이 살도 올랐고 떼지어 활발히 이동하는 것도 이제부터다. 일년 중 강물과 제일 즐길 수 있는 당절에 그만 금족을 당하는 것이었다. 낚시도구는 꾸려 선반에 얹어두고, 자연 김직원과나 자주 만나는 것이 일이 되었다. 만나면 자연 시국 이야기요, 시국 이야기면 이미 독일도 결단났고 일본도 벌써 적을 오끼나와까지 맞아들일 때라 자연히 낙관적 관찰로서 조선독립의 날을 꿈꾸는 것이었다.

국호(國號)가 고려국이라고 그러셨나?

현이 서울서 듣고 온 것을 한 번 김직원에게 이야기 한 적이 있다.

고려민국이랍디다

어째 고려라고 했으리까?

외국에는 조선이나 대한보다 고려로 더 알려졌기 때문인가 봅니다. 직원님께서 무어라 했으면 좋 겠읍니까?

그까짓 국호야 뭐래든 얼른 독립이나 됐으면 좋겠소. 그래도 이왕이면 우리넨 대한이랬으면 좋을 것 같어

대한! 그것도 이조 말에 와서 망할 무렵에 잠시 정했던 이름 아닙니까?

그렇지요. 신라나 고려나처럼 한떄 그 조정이 정했던 이름이죠

그렇다면 지금 다시 이왕시대(李王時代)가 아닐 바엔 대한이란 거야 무의미 허지 않습니까? 잠시 생겼다 망했다 한 나라 이름들은 말씀대로 그때그때 조정이나 임금 마음대로 갈었지만 애초부터 우리 민족의 이름은 조선이 아닙니까?

, 그러리다. 사기에도 고조선이니 위만조선(衛滿朝鮮)이니 허고 조선이란 이름이야 흠벅 오라죠. 그런데 나는 말이야……」

하고 김직원은 누워서 피우던 담배를 놓고 일어나며,

난 그전대로 국호도 대한, 임금도 영친왕을 모셔내다 장가나 조선 부인으로 다시 듭시게 해서 전 주 이씨 왕조를 다시 한번 모셔보구 싶어

하였다.

전조(前朝)가 그다지 그리우십니까?

그립다뿐이겠소. 우리 따위 필부가 무슨 불사이군(不事二君)이래서 보다도 왜놈들 보는 데 대한 그대로 광복(光復)을 해 가지고 이번엔 고 놈들을 한 번 앙갚음을 해야 허지 안겠소?

김직원께서 이제 일본으로 총독 노릇을 한 번 가 보시렵니까?

하고 둘이는 유쾌히 웃었다.

고려민국이건 무어건 그래 군대도 있구 연합국간엔 승인도 받었으리까?

진부는 몰라도 일본에 선전포고꺼정 허구 군대가 김일성 부하 이청천 부하 모다 삼십만은 넘는 다는 말이 있습니다

삼십만! 제법 대군이로구려! 옛날엔 십만이라두 대병인데! 거 인제 독립이 돼가지구 우리 정부가 환국할 땐 참 장관이겠소. 오래 산 보람 있으려나보!

하고 김직원은 다시 담배를 피워 물었다. 그리고 그 피어오르는 연기 속에서 삼십만 대병으로 호위된 우리 정부의 복식 찬란한 헌헌장부들의 환상(幻像)을 그려보는 것이었다. 나중에는 감격에 가슴이 벅찬 듯 후한숨을 쉬는 김직원의 눈은 눈물까지 글썽해 있었다.

그후 얼마 안 있어서다. 하루는 김직원이 주재소에 불려갔다. 별일은 아니라 읍에서 군수가 경비전화를 통해 김직원을 군청으로 들어오라는 기별이었다. 김직원은 이튿날 버스로 칠십 리나 들어가는 군청으로 갔다. 군수는 반가이 맞아 자기 관사에서 저녁을 차리고 김직원에게 이런 말을 하였다.

왜 지난달 춘천(春川)서 열린 도유생대회(道儒生大會)엔 참석허지 않었습니까?

그것 때문에 부르셨소?

아니올시다. 더 드릴 말씀이 있습니다

다 허시지오

이왕 지나간 대회 이야기보다도····· 인젠 시국이 정말 국민에게 한사람이라도 방관할 여율 안 준 다는 건 나뿐 아니라 김직원께서도 잘 아실 겁니다. 노인께 이런 말씀 드리는 건 미안합니다만 너무 고루하신 것 같은데 성인도 시속을 따르랬다고 대세가 그렇지 않습니까

그래서요?

이번에 전국유도대회(全國儒道大會)를 앞두고 군()에서 미리 국어(國語)와 황국정신(皇國精神) 에 대한 강습이 있습니다. 그러니 강습에 오시는데 미안합니다만 머리를 인젠 깎으시고 대회에 가 실 때도 필요할게니 국민복도 한 벌 작만하십시오

그 말씀뿐이오?

그렇습니다

나 유생인 건 사또께서 잘 아시리다. 신체발부(身體髮膚)는 수지부모(受之父母)란 성현의 말씀을 지키지 않구 유생은 무슨 유생이며 유도 대회는 무슨 유도대회겠소. 나 향교직원 명예로 하는 것 아니오. 제향절차 하나 제대로 살필 위인이 없으니까 그곳 사는 후학(後學)으로서 성현께 대한 도리로 맡어 온 것이오. 이제 머리를 깎어라 낙치(落齒)가 다 된 것 더러 일본말을 배워라, 복색을 갈어라, 나 직원 내노란 말씀이니까 잘 알아들었소이다

하고 나와 버린 것인데, 사흘이 못 되어 다시 주재소에서 불렀다. 또 읍에서 나온 전화 때문인데 이번에는 경찰서에서 들어오라는 것이다. 김직원은 그 길로 현을 찾아왔다.

현공? 저놈들이 필시 나한테 강압수단을 쓸랴나보

글쎄올시다. 아모튼 메칠 안 남은 발악이니 충돌은 마시고 잘 모면만 하십시오

불러도 안 들어가면 어떠리까?

그건 안됩니다. 지금 핑계가 없어서 구속을 못하는데 관명거역이라고 유치나 시켜 놓고 머리를 깎으면 그건 기미년 때처럼 꼼짝 못허구 당허십니다.

옳소. 현공 말이 옳소

하고 김직원은 그 이튿날 또 읍으로 갔는데 사흘이 되어도 나오지 않았고 나흘째 되던 날이 바로 <팔월 십오 일>인 것이었다.

그러나 현은 라디오는커녕 신문도 이 주일이나 늦은 이곳에서라 이 역사적 <팔월 십오 일>을 아무 것도 모르는 채 지나 버리었고, 그 이튿날 아침에야 서울 친구의 다만 <급히 상경하라>는 전보로 비로소 제 육감이 없지는 않았으나 그러나 여행증명도 얻을 겸 눈치를 보려 주재소에 갔으되, 순사도 부장도 아무런 이상이 없었을 뿐 아니라 가네무라 순사에게 넌지시 김직원이 어찌 되어 나오지 못하느냐 물었더니,

그런 고집불통 영감은 한참 그런 데서 땀 좀 내야죠

한다.

그럼 구금이 되셨단 말이오?

뭐 잘은 모릅니다. 괜히 소문 내지 마슈

하고 말을 끊는데, 모두가 변한 것이 조금도 없다.

<급히 상경하라, 무슨 때문인가?>

현은 궁금한 채 버스를 기다리는데 이날은 버스가 정각 전에 일찍 나왔다. 이 차에도 김직원을 나타나는 것을 보지 못하고 현은 떠나고 말았다.

버스 속엔 아는 사람도 하나 없다. 대부분이 국민복들인데 한 사람도 그럴듯한 기색은 보이지 않는다. 한 사십 리 나와 저쪽에서 들어오는 버스와 마주치게 되었다. 이쪽 운전수가 팔을 내밀어 저쪽 차를 가서 세운다.

어떻게 된 거야?

무에 어떻게 돼?

철원은 신문이 왔겠지?

어제 방송대루지 뭐

잡음 때문에 자세들 못 들었어. 그런데 무조건 정전이라지?

두 운전수의 문답이 이에 이를 때, 누구보다도 현은 좁은 틈에서 벌떡 일어섰다.

그게 무슨 소리들이오?

전쟁이 끝났답니다

뭐요? 전쟁이?

인젠 끝이 났어요

! 어떻게요?

글쎄 그걸 잘 몰라 묻습니다

하는데 저쪽 운전대에서

결국 일본이 지구 만 거죠. 철원 가면 신문을 보십니다

하고 차를 달려 버린다. 이쪽 차도 갑자기 굴르는 바람에 현은 털썩 주저앉았다.

옳구나! 올 것이 왔구나! 그 지리하던 것이······

현은 코허리가 찌르르해 눈을 섬벅거리며 좌우를 둘러보았다. 확실히 일본 사람은 아닌 얼굴들인데 하나같이 무심들 하다.

여러분은 운전수들의 대활 못 들었습니까?

서로 두리번거릴 뿐, 한 사람도 응하지 않는다.

일본이 지고 말었다면 우리 조선이 어떻게 될 걸 짐작을 허시겠지요

그제야 그것도 조선옷 입은 영감 한 분이

어떻게든 되는 거야 어듸 가겠소? 어떤 세상이라고 똑똑히 모르는 걸 입을 놀리겠소?

한다. 아까는 다소 흥미를 가지고 지껄이던 운전수까지

그렇지요. 정말인지 물어보기만도 무시무시헌 걸요

하고, 그 피곤한 주름살, 그 움푹 들어간 눈으로 운전하는 표정뿐이다.

현은 고개를 푹 수그렸다. 조선이 독립된다는 감격보다도 이 불행한 동포들의 얼빠진 꼴이 우선 울고 싶게 슬펐다.

이게 나 혼자 꿈이나 아닌가?

현은 철원에 와서야 꿈 아닌 <경성일보>를 보았고 찾을 만한 사람들을 만나 굳은 악수와 소리나는 울음을 울었다. 하늘은 맑아 박꽃 같은 구름송이, 땅에는 무럭무럭 자라는 곡식들, 우거진 녹음들, 어느 것이고 우러러 절하고 소리지르고 날뛰고 싶었다.

 

× × ×

 

현은 십칠 일날 새벽, 뚜껑 없는 모래차에 모래 실리는 듯한 사람 틈에 끼어, 대통령에 누구, 육군 대신에 누구, 그러다가 한 정거장을 지날 때마다 목이 터지게 독립만세를 부르며 이 날 아침 열 시에 열린다는 전국대회에 미치지 못할까 보아 초조하면서 태극기가 휘날리는 일광의 정거장들을 지나 서울로 올라왔다.

청량리 정거장을 나서니 웬일인가. 기대와는 달리 서울은 사람들도 냉정하고 태극기조차 보기 드물다. 시내에 들어서니 독오른 일본군인들이 일촉즉발(一觸卽發)의 예리한 무장으로 거리마다 목을 지키고 <경성일보>가 의연히 태연자약한 논조다.

현은 전보 쳐준 친구에게로 달려왔다. 손을 잡기가 바쁘게 전국대회가 어디서 열리느냐 하니, 모른다 한다. 정부 요인들이 비행기로 들어 왔다는데 어디들 계시냐 하니 그것도 모른다 한다. 현은 대체 일본항복이 사실이긴 하냐 하니, 그것만은 사실이라 한다. 현은 전신에 피곤을 느끼며 걸상에 주저앉아 그제야 여러 시간만에 처음 정신을 가다듬었다. 그리고 이 친구로부터 팔월 십오일 이후 이틀 동안의 서울 정황을 대강 들었다.

현은 서울 정황에 불쾌하였다. 총독부와 일본군대가 여전히 조선민족을 명령하고 앉았다는 것과 해외에서 임시정부가 오늘 아침에 들어왔다, 혹은 오늘 저녁에 들어온다, 하는 이때 그 새를 못 참아 건국(建國)에 독단적인 계획들을 발전시키며 있는 것과 문화면에 있어서도, 현 자신은 그의 꿈인가 생시인가도 구별되지 않는 이 현혹한 찰라에, 또 문화인들의 대부분이 아직 지방으로부터 모이기도 전에 무슨 이권이나처럼 재빨리 간판부터 내걸고 서두르는 것들이 도시 불순하고 경박해 보였던 것이다. 현이 더욱 걱정되는 것은 벌써부터 기치를 올리고 부서를 싸고 덤비는 축들이 전날 좌익작가들의 대부분임을 알게 될 때, 문단 그 사회보다도, 나라 전체에 좌익이 발호할 수 있는 때와 좌익이 제멋대로 발호하는 날은, 민족 상쟁 자멸의 파탄을 일으키지 않을까 하는, 위험성이었다. 현은 저 자신의 이런 걱정이 진정일진댄, 이러고만 앉았을 때가 아니라 생각되어 그 조선문화건설 중앙협의회란 데를 찾아갔다. 전날 구인회(九人會) 시대, 문장(文章) 시대에 각별하게 지내던 친구도 몇 있었으나 아닌게 아니라 전날 죄익이었던 작가와 평론가가 중심이었다. 마침 기초된 선언문(宣言文)을 수정하면서들 있었다. 현은 마음속으로 든든히 그들을 경계하면서 그들이 초안한 선언문을 읽어보았다. 두 번 세 번 읽어보았다. 그리고 그들의 표정과 행동에 혹시라도 위선적(僞善的)인 데나 없나 엿보기를 게을리 하지 않으며 저으기 속으로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들에게 이만침 조선사정에 절실한 정신적 준비가 있었든가?>

현은 그들의 태도와 주장에 알고 보니 한 군데도 이의(異意)를 품을 데가 없었다.

<장래 성립한 우리 정부의 문화, 예술정책이 서고, 그 기관이 탄생되어 이 모든 임무를 수행할 때 까지 우선, 현계단의 문화영역의 통일적 연락과 각부문의 질서화를 위하야>

였고 조선문화의 해방, 조선문화의 건설, 문화전선의 통일, 이것이 전진구호(前進口號)였던 것이다. 좌우를 막론하고 민족이 나아갈 노선에서 행동통일부터 원칙을 삼아야 할 것을 현은 무엇보다 긴급으로 생각한 것이요, 좌익작가들이 이것을 교란할까 보아 걱정한 것이며 미리부터 일종의 증오를 품었던 것인데 사실인즉 알아볼수록 그것은 현 자신의 기우(杞憂)였었다. 아직 이 이상 구체안이 있을 수도 없는 때이다. 이들로서 계급혁명의 선수를 걸지 않는 것만은 이들로는 주저나 자중이 아니라, 상당한 자기비판과 국제노선과 조선민족의 관계를 심사숙고한 연후가 아니고는, 이처럼 일견 단순해 보이는 태도나 원칙만에 만족할 리가 없을 것이었다. 현은 다행한 일이라 생각하고 즐겨 그 선언에 서명을 같이하였다.

그러나 도시 마음이 놓이지는 않았다.

-든 권력과 인민에게로!

이런 깃발과 노래만 이들의 회관에서 거리를 향해 나부끼고 울려나왔다. 그것이 진리이긴 하나 아직 민중의 귀에만은 이른 것이었다. 바다 위로 신기루(蜃氣樓)같이 황홀하게 떠들어올 나라나, 대한이나, 정부나 영웅들을 고대하는 민중들은, 저희 차례에 갈 권리도 거부하면서까지 화려한 환상과 감격에 더 사무쳐 있는 때이기 때문이다. 현 자신까지도 <든 권력은 인민에게로>가 이들이 민주주의자로서가 아니라 그전 공산주의자로서의 습성에서 외침으로만 보여질 때가 한두 번이 아니었고, 유고 같은 이는 이미 전세대(前世代)에 있어 <국민보다 인민에게>를 부르짖은 것을 생각할 때, 오늘 우리의 이 시대, 이 처지에서 <인민에게>란 말이 그다지 새롭거나 위험스럽게 들릴 것도 아무 것도 아닌 줄 알면서도, 현은 역시 조심스러웠고, 또 현을 진실로 아끼는 친구나 선배의 대부분이 현이 이들의 진영 속에 섞인 것을 은근히 염려하는 것이었다. 그런데다 객관적 정세는 날로 복잡다단해졌다. 임시정부는 민중이 꿈꾸는 것 같은 위용(偉容)은커녕 개인들로라도 쉽사리 나타나 주지 않았고, 북쪽에서는 소련군이 일본군을 여지없이 무찌르며 조선인의 골수에 사무친 원한을 충분히 이해해서 왜적에 대한 철저한 소탕을 개시한 듯 들리나, 미국 군은 조선민중의 기대는 모른 척하고 일본인들에게 관대한 삐라부터를 뿌리어 아직도 총독부와 일본군대가 조선민중에게 <보아라 미국은 아직 일본과 상대이지 너따위 민족은 문제가 아니다> 하는 자세를 부리기 좋게 하였고, 우리 민족 자체에서는 <인민공화국>이란, 장래 해외세력과 대립의 예감을 주는 조직이 나타났고, <조선 문화건설 중앙협의회>와 선명히 대립하여 <푸로레타리아 예술연맹>이란, 좌익문학인들만으로 문화운동 단체가 기어이 일어나고 말았다.

<푸로예맹>이 대두함에 있어, 현은 물론, <문협>에서 들은, 겉으로는 <역사나 시대는 그네들의 존재 이유를 따로 허락지 않을 것이다> 하고 비웃어 버리려 하나 속으로는 <문화전선 통일>에 성실하면 성실한만치 무엇보다 먼저 해결하지 않으면 안될 당면과제의 하나였다. 현이 더욱 불쾌한 것은<푸로예맹>의 선언강령이 <문협>것과 별로 다를 것이 없는 점이요, 그렇다면 과거에 좌익작가들이, 과거에 자기들과 대립존재였던 현을 책임자로 한 <문학건설본부>에 들어 있기 싫다는 표시로도 생각할 수 있는 점이다. 하루는 우익측 몇 친구가 <푸로예맹>의 출현을 기다리었다는 듯이 곧 현을 조용한 자리에 이끌었다.

당신의 진의는 우리도 모르지 않소. 그러나 급기야 당신이 거기서 못 배겨나리다. 수포에 돌아가리니. 결국 모모(某某)들은 당신 편이기보단 푸로예맹 편인 것이오. 나증에 당신만 지붕 쳐다보는 꼴이 될 것이니 진작 나와 우리끼리 따로 모입시다. 뭣허러 서로 어정버정한 속에서 챙피만 보고 계시오?

현은 그들에게 이 기회에 신중히 생각할 여지가 있다는 것만은 수긍하고 헤어졌다. 바로 그 다음 날이다. 좌익대중단체 주최의 <데모>가 종로를 지나게 되었다. 연합국기 중에도 맨 붉은 기뿐이요, 행렬에서 부르는 노래도 적기가(赤旗歌). 거리에 섰는 군중들은 모두 이 <데모>에 냉정하다. 그런데 <문협>회관에서만은 열광적 박수와 환호로 이 <데모>에 응할 뿐 아니라, 이제 연합군 입성 환영 때 쓸 연합국기들을 다량으로 준비해 두었는데, <문협>의 상당한 책임자의 하나가 묶어놓은 연합국기 중에서 소련 것만을 끄르더니 한아름 안고 가 사층 위로부터 행렬 위에 뿌리는 것이다. 거리가 온통 시뻘개진다. 현은 대뜸 뛰어가 그것을 막았다. 다시 집으러 가는 것을 또 막았다.

침착합시다

침착할 이유가 어디 있소?

양편이 다 같이 예리한 시선의 충돌이었다. 뿐만 아니라 옆에 섰던 젊은 작가들은 하나같이 현에게 모멸의 시선을 던지며 적기를 못 뿌리는 대신, 발까지 구르며 박수와 환호로 좌익 <데모>를 응원하였다. <데모>가 지나간 후, 현의 주위에는 한 사람도 가까이 오지 않었다. 현은 회관을 나설 때 몹시 외로왔다. 이들과 헤어지더라도 이들 수효만 못지 않은, 문학단체건, 문학 단체건 만들 수 있다는 자신도 솟았다.

그러나······ 그러나······

현은 밤새도록 궁리했다. 그 이튿날은 회관에 나오지 않았다.

<마음에 맞는 친구끼리만? 그런 구심적(求心的)인 행동이 이 거대한 새 현실에서 어떤 결과를 가져올 것인가? 새 조선의 자유와 독립은 대중의 자유와 독립이라야 한다. 그들이 대중운동에 그처럼 열성인 것을 나는 몰이해는커녕 도리어 그것을 배우고 그것을 추진시키는 데 티끌만치라도 이바지하려는 것이 내 양심이다. 다만 적기만 뿌리는 것이 이 순간 조선의 대중운동이 아니며 적기편에 선 것만이 대중의 전부가 아니란 그것을 나는 지적하려는 것이다. 이런 내 심정을 몰라준다면, 이 걸 단순히 반동으로밖에 해석할 줄 몰라준다면 어떻게 그들과 함께 일할 수 있는 것인가?>

다음날도 현은 회관으로 나가고 싶지 않아 방에서 혼자 어정거리고 있을 때다. 그날 창밖에 <데모>를 향해 적기를 내어 뿌리던 친구가 찾아왔다.

현형, 그저껜 불쾌했지요?

불쾌했소

현 형, 내 솔직한 고백이요. 적색데모란 우리가 얼마나 두고 몽매간에 그리던 환상이리까? 그걸 현실로 볼 때, 나는 이성을 잃고 광분했던 거요. 부끄럽소. 내 열 번 경솔이었다. 그날 현형이 아니었드면 우리 경솔은 휠씬 범위가 커졌을 거요. 우리에겐 열 사람의 우리와 똑 같은 사람보다 한 사람의 현형이 절대로 필요한 거요

그는 확실히 말끝을 떨었다. 둘이는 묵묵히 담배 한 대씩을 피우고 묵묵히 일어나 다시 회관으로 나왔다.

그 적색 <데모>가 있은 후로 민중은, 학생이거나, 시민이거나, 지식층이거나 확실히 좌우 양파로 갈리는 것 같았다. 저녁이면 현을 또 조용한 자리에 이끄는 친구들이 있었다. 현은 <문협>에서 탈퇴하기를 결단하라는 간곡한 충고를 재삼 받았으나, <문협>의 성격이 결코 그네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어느 한쪽에 편향한 것이 아니란 것을 극구 변명하였는데 그 이튿날 회관으로 나오니, 어제 이 친구들로부터 전화가 걸려 왔다.

자네가 말한 건 자네 거짓말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우리가 본 대로 자네는 저들에게 이용당하고 있는 걸세. 그 회관에 오늘 아침 새로 내걸은 대서특서한 드림을 보면 알 걸세

하고 이쪽 말은 듣지도 않고 불쾌히 전화를 끊어 버리는 것이었다. 현은 옆엣 사람들에게 묻지도 않았다. 쭈루루 밑엣 층으로 내려가 행길에서 사층인 회관의 전면을 쳐다보았다.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아까 현은 미처 보지 못하고 들어왔는데 옥상에서부터 이 이층까지는 어떤 표어나 구호보다 그야말로 대서특서한 것이었다. 안전지대에 그득한 사람들, 화신 앞에 들끓는 군중들, 모두 목을 제끼고 쳐다보는 것이다. 모두가 의아하고 불안한 표정들이다. 현은 회관 사 층을 십 분이나 걸려 올라왔다. 현은 다시 한번 배신(背信)을 당하는 심각한 우울이었다. 회관에는 <문협>의 의장도 서기장도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 <문학건설본부>의 서기 정만이 뒤를 따라 들어서기에 현은 그의 손을 이끌고 옥상으로 올라왔다.

이건 누가 써 걸었소?

뭔데?

부슬비가 내리는 때라 그도 쳐다보지 않고 들어왔고, 또 그런 것을 내어 걸 계획에도 참례하지 못한 눈치였다.

당신도 정말 몰랐소?

정말 몰랐네! 이게 대체 누구 짓일까?

나도 몰라, 당신도 몰라, 한 회관에 있는 우리가 몰랐을 때, 나오지 않는 의원(議員)들은 더 많이 몰랐을 것이오. 이건 독재요. 이러고 문학전선의 통일 운운은 거짓 말이오. 나는 그 사람들 말 더 믿구 싶지 않소. 인젠 물러가니 그리 아시오

하고 돌아서는 현을, 서기장은 당황해 앞을 막았다.

진상을 알구 봅시다

알아보나 마나요

그건 속단이오

속단해 버려도 좋을 사람들이오. 이들이 대중운동을 이처럼 경솔히 하는 줄은 정말 뜻밖이오

그래도 가만있소. 우리가 오늘 갈리는 건 우리 문학인의 자살이오!

왜 자살행동을 하시오?

하고 현은 자연 언성이 높아졌다.

정말이오. 나도 몰랐소. 그렇지만 이런 걸 밝히고 잘못 쏠리는 것도 우리가 할 일 아니고 누가 할 일이란 말이오?

하고 서기장은 눈물이 핑 도는 것이다. 그리고 그 드림 드리운 데로 달려가 광목 한 통이 비까지 맞아 무겁게 늘어진 것을 한 걸음 끌어올리고 반걸음 끌려 내려가면서 닻줄을 감듯 전력을 들여 끌어올리고 있는 것이었다.

<그렇다! 나 하나 등신이거나 이용을 당한다거나 그런 조소를 받는 것이 문제가 아니다. 그런 것에 나 신경을 쓰는 건 나 자신 불성실한 표다!>

현도 뛰어가 서기장과 힘을 합치어 그 무거운 드림을 끌어올리었다.

나중에 알고 보니 <문협>의 의장도, 서기장도 다 모르는 일이었다. 다만 서기국원 하나가, 조선이 어떤 이름이 되든 인민의 공화국이어야 한다는 여론이 이 회관 내에 있음을 알던 차, <인민공화국>이 발표되었고, 마침 미술부 선전대에서 또 무엇 그릴 것이 없느냐 주문이 있기에, 그런 드림이 으레 필요하려니 지레 짐작하고 제 마음대로 원고를 써 보낸 것이요, 선전대에서는 문구는 간단하나 내용이 중요한 것이라 광목 전폭에다 내려썼고, 쓴 것이 마르면 으레 선전대에서 가지고 와 달아까지 주는 것이 그들의 책임이라 식전 일찍이 와서 달아놓고 간 것이었다. 아침 여덟 시부터 열한시까지 세 시간 동안 걸린 이 간단한 드림은 석 달 이상을 두고 변명해 오는 것이며 그것 때문에 <문협> 조직체가 적지 않은 타격을 받은 것도 사실인 것이다.

그러나 이것을 계기로 전원은 아직도 여지가 있는 자기비판과 정 판단과 <푸로예맹>과의 합동운동을 더 진실한 태도로 착수하기 시작한 것이다.

 

× × ×

 

이미 미국 군대가 들어와 일본 군대의 총부리는 우리에게서 물러섰으나 삐라가 주던 예감과 마찬가지로 미국은 그들의 군정(軍政)을 포고하였다. 정당(政黨)은 누구든지 나타나란 바람에 하룻밤 사이에 오륙십의 정당이 꾸미어졌고, 이승만 박사가 민족의 미칠 듯한 환호 속에 나타나 무엇보다 조선민족이기만 하면 우선 한데 뭉치고 보자는 주장에 그 속에 틈이 있음을 엿본 민족반역자들과 모리배들이 나서 활동을 일으키어, 뭉치는 것은 박사의 진의와는 반대의 효과로 일제시대 비행기회사 사장이 새로 된 것이라는 국민항공회사에도 나타나는 것 같은 일례로, 민심은 집중이 아니라 이심이요, 신념이기보다 회의(懷疑)의 편이 되고 말았다. 민중은 애초부터 자기 자신들의 모든 권익을 내어 던지면서까지 사모하고 환성하던 임시정부라 이제야 비록 자격은 개인으로 들어왔더라도 그 후의 기대의 신망은 그리로 돌릴 길밖에 없었다. 그러나, 개인이나 단체나 습관이란 이처럼 숙명적인 것인가. 해외에서 다년간 민중을 가져 보지 못한 임시정부는 해내에 들어와서도, 화신 앞 같은 데서 석유상자를 놓고 올라서 민중과 이야기할 필요는 조금도 느끼지 않고 있었다. 인공(人共)과 대립만이 예각화(銳角化)되고, 삼팔선(三八線)은 날로 조선의 허리를 졸라만 가고, 느는 건 강도요, 올라가는 건 물까요, 민족의 장기간 흥분하였던 신경은 쇠약할 대로 쇠약해만 가는 차에 탁치(託治) 문제가 터진 것이다.

누구나 할 것 없이 그만 내정을 잃고 말았다. 여기 저기서 탁치 반대의 아우성이 일어났다. 현도 몇 친구와 함께 반탁강연에 나갔고 그의 강연 원고는 어느 신문에 게재도 되었다.

그러나 현은, 아니 현만이 아니라 적어도 그날 현과 함께 반탁강연에 나갔던 친구들은 하나같이 어정쩡했고, 이내 후회하지 않을 수 없었다. 탁치 문제란 그렇게 간단히 규정할 것이 아님을 차츰 깨닫게 되었는데, 이것을 제일 먼저 지적한 것이 조선공산당으로, 그들의 치밀한 관찰과 정확한 정세판단에는 감사하나, 삼상 회담 지지가 공산당에서 나왔기 때문에 일부의 오해를 더 사고 나아가선 정권싸움의 재료로까지 악용 당하는 것은 불행 중 거듭 불행이었다.

탁치 문제에 우린 너무 경솔했소!

적지 않은 과오야!

과오? 그러나 지금 조선민족의 심리론 그리 큰 과오라곤 할 수 없지. 또 민족적 자존심만을 이만 침은 표현하는 것도 좋고······

글세 내용을 알고 자존심만 표현하는 것과 내용을 모르고 허턱 날뛰는 것과 방법이 다를 거 아니냐 말이야

그렇지! 조선민족에게 단끼만 있고 정치적 통찰력이 부족하다는 게 드러나니 자존심인들 무슨 자존심이냐 말이지

과오 없이 어떻게 일하오? 레닌 같은 사람도 과오 없인 일 못한다고 했고 과오가 전혀 없는 사람은 일 안 하는 사람이라 한 거요. 우리 자신이 깨달은 이상 이 미묘한 국제노선을 가장 효과적이 게 계몽에 힘 쓸 것뿐이오

현서껀 회관에서 이런 이야기들을 하고 앉았을 때다. 이런 데는 어울리지 않는 웬 갓 쓴 노인이 들어선 것이다.

!

현은 뛰어 마중 나갔다. 해방 이후, 현의 뜻 속에 있어 무시로 생각나던 김직원의 상경이었다.

직원님!

현선생!

근력 좋으셨습니까?

좋아서 이렇게 서울 구경 왔소이다

그러나 삼팔 이북에서라 보행과 화물자동차에 시달리어 그런지 몹시 피로하고 쇠약해 보였다.

언제 오셨습니까?

어제 왔지요

어디서 유허셨습니까?

, 오는 길에 철원 들러, 댁에서들 무고허신 것 뵈왔지요. 매우 오시구 싶어들 합디다

현의 가족들은 그간 철원으로 나왔을 뿐, 아직 서울엔 돌아오지 못하고 있는 것이었다.

잘들 있으면 그만이죠

현공이 그저 객지시게 다른데 유헐 곳부터 정하고 오늘 찾어왔지요. 그래 얼마나들 수고허시오

저희야 무슨 수고랄 게 있습니까? 이번에 누구보다도 직원님께서 얼마나 기쁘실까 허구 늘 한 번 뵙구 싶었습니다. 그리구 그때 읍에 가셔선 과히 욕보시지나 않으셨습니까?

하마트면 상투가 잘릴 번 했는데 다행히 모면했소이다

마침 점심때도 되고 조용히 서로 술회(述懷)도 하고 싶어 현은 김직원을 모시고 어느 구석진 음식점으로 나왔다.

현공, 그간 많이 변하셨다구요?

제가요?

소문이 매우 변허셨다구들

글쎄요······

현은 약간 우울했다. 현은 벌써 이런 경험이 한두 번째 아니기 때문이다. 해방 이전에는 막역한 지기(知己)여서 일조유사한 때는 물을 것도 없이 동지일 것 같던 사람들이 해방 후, 특히 정치적 동향이 보수적인 것과 진보적인 것이 뚜렷이 갈리면서부터는, 말 한두 마디에 벌써 딴 사람처럼 서로 경원(敬遠)이 생기고 그것이 대뜸 우정에까지 거리감(距離感)을 자아내는 것을 이미 누차 맛보는 것이었다.

현공?

?

조선민족이 대한독립을 얼마나 갈망했소? 임시정부 들어서길 얼마나 열열절절이 고대했소?

잘 압니다

그런데 어쩌자구 우리 현공은 공산당으로 가셨소?

제가 공산당으로 갔다고들 그럽니까?

자자합디다. 현공이 아모래도 이용당하는 거라구

직원님께서도 절 그렇게 생각하십니까?

현공이 자진해 변했을른진 몰라, 그래두 남한테 넘어갈 양반 아닌 건 난 알지요

감사합니다. 또 변했단 것도 그렇습니다. 지금 내가 변했느니, 안 변했느니 하리만치 해방 전에 내가 제법 무슨 뚜렷한 태도를 가졌던 것도 아니구요. 원인은 해방 전엔 내 친구가 대부분이 소극적인 처세가들인 때문입니다. 나는 해방 후에도 의연히 처세만 하고 일하지 않는 덴 반댑니다

해방 후라고 사람의 도리야 어디 가겠소? 군자는 불처혐의간(不處嫌疑間)입니다

전 그렇진 않습니다. 지금 이 시대에선 이하(李下)에서라고 빗뚜러진 관()을 바로잡지 못하는 것은 현명이기보단 어리석음입니다. 처세주의는 저 하나만 생각하는 태돕니다. 혐의는커녕 위험이라 도 무릅쓰고 일해야 될 민족의 가장 긴박한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아모튼 사람이란 명분(名分)을 지켜야 합니다. 우리가 무슨 공뢰 있소. 해외에서 일생을 우리 민족 위해 혈투해 온 그분들께 그냥 순종해 틀릴 게 조금도 없습네다

직원님 의향 잘 알겠습니다. 그리고 저도 그분들께 감사하고 감격하는 건 누구헌테 지지 않습니다. 그러나 지금 조선 형편은 대외, 대내가 다 그렇게 단순치가 않답니다. 명분을 말씀허시니 말이 지, 광해조(光海朝) 때 일을 생각해 보십시오 임진란(壬辰亂) 때 명()의 구원을 받았지만, 명이 청 태조(淸太祖)에게 시달리게 될 때, 이번엔 명이 조선에 구원군을 요구허지 않었습니까?

그게 바루 우리 조선서 대의명분론(大義名分論)이 일어난 시조요구려

임진란 직후라 조선은 명을 도와 참전할 실력은 전혀 없는데 신하들은 대의명분상, 조선이 명과 함께 망해 버리는 한이라도 그냥 있을 순 없다는 것이 명분파요, 나라는 망하고, 임금노릇은 그만두드라도 여지껏 왜적에게 시달린 백성을 숨도 돌릴 새 없이 되짚어 도탄에 빠뜨릴 순 없다는 것이 택민파(澤民派), 택민론의 주창으로 몸소 폐위(廢位)까지 한 것이 광해군(光海君) 아닙니까? 나라들과 임금들 노름에 불쌍한 백성들만 시달려선 안 된다고 자기가 왕위를 폐리같이 버리면서까지 택민론을 주장한 광해군이, 나는, 백성들은 어찌 됐든지 지배자들의 명분만 찾던 그 신하들보다 몇 배 훌륭했고, 정말 옳은 지도자였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또 의리와 명분이라 하드라도 꼭 해외에서 온 이들에게만 편향하는 이유는 어디 있습니까?

거야 멀리 해외에서 다년간 조국광복을 위해 싸웠고 이십 칠팔 년이나 지켜 온 고절(孤節)이 있지 않소?

저는 그분들의 품상을 굳이 헐하게 알리는 것도 결코 아닙니다. 지역은 해외든, 해내든, 진심으로 우리를 위해 꾸준히 싸워 온 이면 모도가 다 같이 우리 민족의 공경을 받어 옳을 것이고, 풍상이라 혈투라 하나 제 생각엔 실상 악형에 피가 흐르고, 추위에 손발이 얼어빠지고 한 것은 오히려 해내 에서 유치장으로 감방으로 끌려 다니며 싸워온 분들이 몇 배 더 했으리라고는 생각합니다. 육체적 고초뿐이 아니었습니다. 정신적으로 매수하는 가지가지 유인과 협박도 한두 번이 아니어서, 해내에서 열 번을 찍히어도 넘어가지 않고 싸워낸 투사라면 나는 그런 어른이 제일 용하다고 생각합니다

현공은 그저 공산파만 두둔하시는군!

해내엔 어디 공산파만 있었습니까? 그리고 이번엔 공산당이 무산계급혁명으로가 아니라 민족의 자본주의적 민주혁명으로 이미 노선(路線)을 밝혀 논 것은 무엇보다 현명했고, 그랬기 때문에 좌우익의 극단적 대립이 원칙상 용허되지 않아서 동포의 분열과 상쟁을 최소한으로 제지할 수 있는 것 은 조선민족을 위해 무엇보다 다행한 일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난 그게 무슨 말씀인지 잘 못 알아듣겠소만 그저 공산당 잘못입네다

어서 약주나 드십시다

우리 늙은게야 뭘 아오만·····

김직원은 술이 약한 편이었다. 이내 얼굴에 취기가 돌며,

어째 우리 같은 늙은거기로 꿈이 없었겠소? 공산파만 가만있어 주면 곧 독립이 될 거구, 임시정부 요인들이 다 고생허신 보람있게 제자리에 턱턱 앉어 좀 잘 다스려 주겠소? 공연히 서로 싸우는 바람에 신탁통치 문제가 생긴 것이오. 안 그렇고 무어요?

하고 저윽 노기를 띄운다. 김직원은, 밖에서는 소련(蘇聯), 안에서는 공산당이 조선독립을 방해하는 것이라 하였다. 이렇게, 역사적, 또는 국제적인 이해가 없이 단순하게, 독립전쟁을 해 얻은 해방으로 착각하는 사람에겐 여간 기술로는 계몽이 불가능하고, 현 자신에게 그런 기술이 없음을 깨닫자 그는 웃는 낯으로 음식을 권했을 뿐이다.

김직원은 그 이튿날도 현을 찾아왔고 현도 그 다음날은 그의 숙소로 찾아갔다. 현이 찾아간 날은,

어째 당신넨 탁치 받기를 즐기시오?

하였다.

즐기는 게 아닙니다

그러면 즐겁지 않은 것도 임정(臨政)에서 반탁을 하니 임정에서 허는 건 덮어놓고 반대하기 위해 서 나중엔 탁치까지를 지지한단 말이지요?

직원님께서도 상당히 과격하십니다 그려

아니, 다 산 목숨이 그러면 삼국외상헌테 매수해서 탁치지지에 잠자코 물러가야 옳소?

건 좀 과하신 말씀이구! 저는 그럼, 장래가 많아서 무엇에 팔려서 삼상회담을 지지허는 걸로 보십니까?

그 말에는 대답이 없으나 김직원은 현의 태도에 그저 못마땅한 눈치만은 노골화하면서 있었다. 현은 되도록 흥분을 피하며, 우리 민족의 해방은 우리 힘으로가 아니라 국제사정의 영향으로 되는 것이니까 조선 독립은 국제성(國際性)의 지배를 벗어날 수 없는 것, 삼상회담의 지지는 탁치 자청이나 만족이 아니라 하나는 자본주의 국가요 하나는 사회주의 국가인 미국과 소련이 그 세력의 선봉들을 맞대인데다가 조선이란 국제간에 공개적(公開的)으로 조선의 독립과 중립성이 보장되어야지, 급히 이름만 좋은 독립을 주어 놓고 소련은 소련대로 미국은 미국대로 중국은 중국대로 정치 경제 모두가 미약한 조선에 지하외교를 시작하는 날은, 다시 이조말(李朝末)의 아관파천(俄館播遷)식의 골육상쟁과 멸망의 길밖에 없다는 것, 그러니까 모처럼 얻은 자유를 완전독립에까지 국제적으로 보장되는 길을 택할 수밖에 없다는 것, 이왕조(李王朝)의 대한(大韓)이 독립전쟁을 해서 이긴 것이 아닌 이상, <대한> <대한>하고 전제제국(專制帝國)시대의 회고감(懷古感)으로 민중을 현혹시키는 것은 조선민족을 현실적으로 행복되게 지도하는 태도가 아니라는 것, 지금 조선을 남북으로 갈라 진주해 있는 미국과 소련은 무엇으로 보나 세계에서 가장 실제적인 국가들인만치 조선민족은 비실제적인 환상이나 감상(感傷)으로가 아니라 가장 과학적이요, 세계사적(世界史的)인 확실한 견해와 준비가 없이는 그들에게 적정한 응수(應酬)를 할 수 없다는 것, 현은 재주껏 역설해 보았으나 해방 이전에는 현 자신이 기인여옥(其人如玉)이라 예찬한 김직워은, 지금에 와서는 돌과 같은 완강한 머리로 조금도 현의 말을 이해하려 하지 않고, 다만 같은 조선사람인데 <대한>을 비판하는 것만 탐탁치 않았고 그것은 반드시 공산주의의 농간이라 자가류(自家流)의 해석을 고집할 뿐이었다.

 

× × ×

 

그후 한동안 김직원은 현에게 나타나지 않았다. 현도 바쁘기도 했지만 더 김직원에게 성의도 나지 않아 다시는 찾아가지도 못하였다.

탁치문제는 조선민족에게 정치적 시련으로 너무 심각한 것이었다. 오늘 <반탁>시위가 있으면 내일 <삼상회담 지지>시위가 일어났다. 그만 대중을 충돌하고, 지도자들 가운데는 이것을 미끼로 정권 싸움이 악랄해갔다. 결국, 해방 전에 있어 민족수난의 십자가를 졌던 학병(學兵)들이, 요행 죽지 않고 살아온 그들 속에서, 이번에도 이 불행한 민족 시련의 십자가를 지고 말았다.

이런 우울한 하루였다. 현의 회관으로 김직원이 나타났다. 오늘 시골로 떠난다는 것이었다. 점심이나 같이 자시러 나가자 하니 그는 전과 달리 굳게 사양하였고, 아래층까지 따라 나려오는 것도 굳게 막았다. 전날 정리로 보아 작별만은 하러 들리었을 뿐, 현의 대접이나 인사는 긴치 않게 여기는 듯하였다.

언제 서울 또 오시렵니까?

이런 서울 오고 싶지 않소이다. 시골 가서도 그 두문동 구석으로나 들어가겠소

하고 뒤도 돌아보지 않고 분연히 층계를 내려가고 마는 것이었다. 현은 잠깐 멍청히 섰다가 바람도 쏘일 겸 옥상(屋上)으로 올라왔다. 미국군의 찦이 몰매미떼처럼 스물거리는 사이에 김직원의 흰 두루마기와 검은 갓은 그 영사 너무 표표함이 있었다. 현은 문득 청조말(淸朝末)의 학자 왕국유(王國維)의 생각이 났다. 그가 일본에 와서 명곡(明曲)에 대학 강연이 있을 때, 현도 들으러 간 일이 있는데, 그는 청나라식으로 도야지 꼬리 같은 편발을 그냥 드리우고 있었다. 일본 학생들은 킬킬 웃었으나 그의 전조(前朝)에 대한 숭의를 생각하고 나라 없는 현은 눈물이 날 지경으로 왕국유의 인격을 우러러보았었다. 그 뒤에 들으니, 왕국유는 상해로 갔다가 북경으로 갔다가, 아모리 헤매어도 자기가 그리는 청조(淸朝)의 그림자는 스러만 갈 뿐이므로,

綠水靑山不曾改 雨洗蒼蒼有獸間

을 읊조리고는 편발 그대로 혼명호(混明湖)에 빠져 죽었다는 것이었다. 이제 생각하면 청나라를 깨트린 것은 외적(外敵)이 아니라 저희 민족 저희 인민의 행복과 진리를 위한 혁명으로였다. 한 사람 군주(君主)에게 연연히 바치는 뜻갈도 갸륵한 바 없지 않으나 왕국유가 그 정성, 그 목숨을 혁명을 위해 돌리었던들, 그것은 더 큰 인생의 뜻이오니 큰 진리의 존엄한 목숨일 수 있었을 것 아닌가? 일제시대에 그처럼 구박과 멸시를 받으면서도 끝내 부지해 온 상투 그대로, <대한>을 찾아 삼팔선을 모험해 한양성(漢陽城)에 올라왔다가 오늘, 이 세계사(世界史)의 대사조(大思潮) 속에 한 조각 티끌처럼 아득히 가라앉아 가는 김직원의 표표한 모양을 바라볼 때, 현은 왕국유의 애틋한 최후를 연상하지 않을 수 없었다.

바람이 아직 차나 어딘지 부드러운 벌써 봄바람이다. 현은 담배를 한 대 피우고 회관으로 내려왔다. 친구들은 <푸로예맹>과의 합동도 끝나고 이번엔 <전국문학자대회> 준비로 바쁘고들 있었다.

 

'한국단편소설3' 카테고리의 다른 글

44. 화수분  (0) 2022.05.19
43. 현대의 야  (0) 2022.05.19
41. 하늘을 바라보는 여인  (0) 2022.05.19
40. 패강랭  (0) 2022.05.19
39. 판문점  (0) 2022.05.18